매출액은 3분기 최대치 22조1769억원 기록

LG전자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2조1769억원, 영업이익 7511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 [사진=연합뉴스]
LG전자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2조1769억원, 영업이익 7511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LG전자가 해상운임 폭등 및 경쟁 심화에 따른 마케팅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LG전자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2조1769억원, 영업이익 7511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0.7%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대비 20.9% 감소했다.

이는 증권가 컨센서스보다 약 23% 밑돈 어닝 쇼크로, 증권에서는 매출 22조331억원, 영업이익 9686억원을 전망했다.

매출액은 3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LG전자는 “지난해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성장을 이뤄내고 있다”면서도 “영업이익은 하반기 들어 급등한 물류비 영향 및 마케팅비 증가에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고 설명했다.

3분기 누적 경영실적은 매출액 64조9672억원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3조2836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1.7% 떨어졌다.

LG전자는 수요회복 지연, 원재료비 인상, 해상운임 변동 등 어려운 대외 환경이 이어지고 있지만 전사 매출 규모를 꾸준히 늘려 나가는 점은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업방식과 사업모델 변화, 기업간거래(B2B) 사업 가속화 등 포트폴리오 고도화 차원의 노력이 사업의 근원적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며 성장의 모멘텀을 유지해 나가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가전구독, 소비자직접판매 (D2C), 볼륨존 확대 등 다양한 사업방식의 변화는 가전 등 레드오션으로 평가받던 주력사업 분야의 꾸준한 매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경기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B2B의 성장세도 꾸준하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플랫폼 기반 콘텐츠/서비스 사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영업이익 기여도를 꾸준히 높이고 있는 점이 긍정적인 요소다.

또 전장 사업은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이 전기차 수요 둔화에 다소 영향을 받고 있으나, 100조원 수준 수주 물량의 차질 없는 공급을 지속하고 있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ADAS)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도 늘려 나간다.

홈엔터테인먼트 사업은 3분기 북미 , 유럽 등 선진 시장의 올레드 TV 수요가 점진 회복세를 보였지만, LCD 패널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원재료비 부담이 이어졌다.

수익성 기여도가 높은 webOS 콘텐츠/서비스 사업의 고속 성장은 계속될 전망이다.

LG전자는 ▲콘텐츠 경쟁력 및 편의성 강화 ▲생태계 확대 ▲광고사업 경쟁력 고도화 등을 추진하며 webOS 콘텐츠/서비스 사업 확대에 가속도를 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2024년 3 분기 연결기준 순이익과 각 사업본부별 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