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증권 유관기관들과 밸류업 펀드 조성 업무협약 체결
ETF·ETN 포함한 ETP(상장지수상품) 상장 규모 약 5110억원

조영익 한국증권금융 부사장(사진 왼쪽부터), 윤창현 코스콤 대표이사,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이순호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전무 등 증권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기업 밸류업 펀드 조성을 위한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 [한국거래소 제공=뉴스퀘스트]
조영익 한국증권금융 부사장(사진 왼쪽부터), 윤창현 코스콤 대표이사,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이순호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전무 등 증권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기업 밸류업 펀드 조성을 위한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 [한국거래소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코리아 밸류업 지수가 주식시장에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거래소를 중심으로 증권 유관기관들이 기업 밸류업 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해 밸류업 관련 투자문화 확산에 나설 예정이다.

31일 한국거래소는 한국증권금융, 한국예탁결제원, 한국금융투자협회, 코스콤과 밸류업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기업 밸류업 펀드 조성 관련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기업 밸류업 펀드는 이들 증권 유관기관이 1000억원을 출자하고 민간자금과 매칭 총 2000억원 이상의 규모로 조성돼 밸류업 지수 상장지수펀드(ETF)와 구성종목에 투자된다. 

밸류업 공시를 했으나, 아직 지수에 미편입된 종목들도 투자 대상에 포함된다.

이날 한국거래소는 오는 11월 4일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 12개 종목과 상장지수증권(ETN) 1개 종목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고 설명했다.

9개 종목은 패시브, 3개 종목은 액티브로 출시될 계획이다.

패시브 ETF 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KB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신한자산운용 ▲키움투자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 ▲NH-Amundi자산운용 ▲하나자산운용이다.

또 액티브 ETF 운용사는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삼성액티브자산운용 ▲트러스톤자산운용이다. ETN의 경우 ▲삼성증권에서 발행한다.

ETF·ETN를 포함한 ETP(상장지수상품) 상장 규모는 약 5110억원으로 상장 후 유동성 확보를 위해 유동성공급자(LP)로 참여하는 증권사는 20곳에 이른다.

이번에 발표된 내용대로라면 일본과 비교해도 매우 큰 규모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발표된 일본의 밸류업 지수 JPX 프라임 150을 추종하는 ETF는 2개 종목으로 설정액은 184억원, 현재 순자산총액은 1585억원이다.

한국거래소는 “업계와 시장의 기업 밸류업에 대한 필요와 기대가 융합된 결과”라며 “시장 전체적으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상장되는 ETF에는 분배금을 지급하는 ‘PR(Price Return) 상품’, 분배금 지급없이 재투자하는 ‘TR(Total Return) 상품’ 등 다양한 유형의 상품이 존재해 투자자 선택의 폭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추가로 ETF 상장일인 11월 4일에는 밸류업지수 선물까지 상장 예정이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다만, 밸류업 지수 구성이 아직 시장의 공감을 얻지 못하면서 한국거래소가 연내 구성종목 변경을 예고한 상태라는 점이 투자자 입장에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ETF 출시가 연기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았지만, 한국거래소는 계획대로 출시하는 방안을 택했다.

한국거래소는 “조기에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필요하다는 정부·유관기관·업계의 공감대가 있었다”며 “수시 협의를 거쳐 만반의 준비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밸류업 펀드와 ETF 출시를 통해 우리 주식시장의 밸류업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시장의 요구에 따라 후속지수 개발도 추가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밸류업 ETF에 대한 세제지원 건의 등 밸류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을 유지할 수 있는 노력도 이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