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선포-해제 여파' 정치권, 노동계, 학계, 시민사회 전반으로 번져
오후부터는 전국 주요 도시 광장에서 대통령 퇴진 촉구 '촛불집회' 예정

4일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열린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에서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가맹조직 대표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4일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열린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에서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가맹조직 대표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민기홍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3일 밤 비상계엄 선포와 6시간 만의 계엄 해제 선언에 따른 ‘저항’ 여파가 정치권, 노동계, 학계는 물론 시민사회 전반으로 번지고 있다. 8년 만에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집회도 열린다.

정치권에 이어 노동계가 가장 먼저 목소리를 냈다. 4일 노동계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강력히 비판하며 “정권 퇴진 시까지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선언했다.

의료계도 나섰다. 계엄사령부가 포고령을 통해 '복귀 위반 전공의를 처단한다'는 내용에 대해 “강력하게 규탄한다”는 입장을 냈다. 가톨릭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도 “의사들이 반국가세력인가. 전공의들을 끝까지 악마화할 것인가. 우리는 분노와 허탈을 넘어 깊은 슬픔을 느끼고 있다”며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법조계도 “비상계엄 선포가 자유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위헌 행위”라는 입장을 내며 “형사처벌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 등 계엄 세력을 향해 날을 세우며, 반헌법적 비상계엄 선포가 탄핵 추진 사유가 될 것이라는 해석도 내놨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서울 정동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과 함께 국민의 선두에 서서 윤석열 즉각 퇴진을 위해 투쟁해나갈 것”이라는 성명과 함께 무기한 총파업을 선언했다.

공공운수노조도 4일 비상중앙집행위 회의를 열고 앞서 밝힌 5∼6일 철도노조·서울지하철노조 파업을 확인, 교통대란을 예고했다. 6일엔 전국 학교비정규직 1만5000여명이 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가 해제한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시민들이 윤 대통령 사퇴촉구 탄핵추진 비상시국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국회 본청 앞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가 해제한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시민들이 윤 대통령 사퇴촉구 탄핵추진 비상시국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국회 본청 앞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는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불법 계엄 규탄 내란죄 윤석열 퇴진 국민주권 실현을 위한 전면적 저항운동 선포 전국 비상 행동'을 열고 반정부 투쟁에 나선다고 선언했다.

여의도 국회의사당은 4일 오전부터 윤석열 대통령 사퇴를 촉구하는 비상시국대회에 참여하려는 시민들로 북적됐다. 오후부터는 전국 주요 도시 광장에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촛불집회'가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탄핵 정국' 이후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열리는 촛불집회는 8년 만이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