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분 투자한 레인보우로보틱스에 콜옵션 행사
지분율 35.0%로 늘어...1대 주주되고 연결 자회사 편입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발판...원천기술 확보로 성장 가속
![삼성전자가 국내 대표 로봇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해 휴머노이드 등 미래로봇 개발을 가속화한다. [사진=김민우 기자]](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12/237168_135211_5920.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대표 로봇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해 휴머노이드 등 미래로봇 개발을 가속화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868억원을 투자해 14.7%의 지분을 갖고 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보유 중인 콜옵션을 행사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35.0%로 늘려 2대 주주에서 최대 주주가 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로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카이스트 휴보 랩(Lab) 연구진이 2011년 설립한 로봇 전문기업이다.
삼성전자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술에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를 위해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했다.
미래로봇추진단은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미래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조직으로, 향후 패러다임을 바꿀 미래로봇의 원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핵심 성장 동력화 한다는 계획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창업 멤버이자 카이스트 명예교수인 오준호 교수는 레인보우로보틱스 퇴임 후 삼성전자 고문 겸 미래로봇추진단장을 맡는다.
오 교수는 오랜 기간 산학에서 축적한 로봇 기술과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미래로봇 개발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로서 글로벌 로봇 사업과 개발 리더십 강화를 위한 두 회사간 시너지협의체도 운영한다.
시너지협의체는 미래로봇 기술 개발은 물론 로봇 사업 전략 수립과 수요 발굴 등을 통해 두 회사의 성장을 돕는 가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가 됨에 따라 미래로봇 개발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며 "결국 두 회사의 Win - Win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국내 이용자 2000만명 돌파...뛰어난 개방성 장점
- 삼성전자, 투아트와 협업...시각장애인 가전 접근성 돕는다
- 삼성전자 연말 성과급, 반도체 12∼16%, 모바일 40∼44%
- "꼭 필요한 서비스만 선택"...삼성전자, AI 구독클럽 판매비중 30% 차지
- 삼성전자, 美 공조 시장 적극 공략...'CES 2025'서 '가정용 히트펌프 EHS' 공개
- 불확실성 확대 속 경제위기 직면...재계 리더들, “변화, 쇄신, 혁신” 메시지 전달
- AI PC 대중화 나선 삼성전자, AI PC '갤럭시 북5 Pro' 국내 출시
- 삼성전자 "과감한 혁신 필요한 시기"...초격차 기술 리더십‧신성장 동력 강조
- 삼성전자, 구글과 협업 업계 최초 이클립사 오디오 기술 탑재 TV 공개
- 삼성·LG, 로봇 경쟁력 확보 속도...AI에 손·발 단 '휴머노이드 '시대 온다
- 삼성전자 출신 김용완·차영훈, 로봇 자회사 레인보우로보틱스 사내·외이사 선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