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0조원 규모 투자...생산자동차 강판 등 美 현대차·기아 공장에 납품 계획

현대제철 당진 수소공장 [현대제철 제공=뉴스퀘스트]
현대제철 당진 수소공장 [현대제철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현대제철이 미국 현지에 제철소 건설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보편관세 부과 등 보호무역 강화 정책을 예고하면서 관세 대응 차원이라는 평가다.

현대제철은 이곳에서 자동차용 강판을 생산, 조지아주에 있는 현대차·기아 공장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 철강 계열사인 현대제철은 미국 현지에서 자동차 강판 등을 생산하는 제철소 건설을 검토 중이다. 생산은 순수한 철을 전기로에 녹여 쇳물을 얻는 방식으로 운영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은 이전까지 '해외 거점 검토를 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혀 왔지만, 이를 미국으로 축소한 것이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투자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앞서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지난해 4월 정기주주총회에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생산 거점도 검토하고 있다"며 "세밀한 검토를 해나갈 예정”이라고 언급 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새 제철소를 미국에 건설하면 연산 수백만톤 규모로 투자금도 약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곳에서 만든 자동차용 강판을 인근 조지아주 현대차·기아 공장 등에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차그룹은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에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기차 공장과 앨라배마주 현대차 공장, 기아 공장 등을 통해 연간 최대 120만대의 차량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번 대규모 미국 현지 투자 검토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철강 관세 부과 등 불확실성을 해소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달 초 SNS를 통해 미국 철강 회사 US 스틸의 일본 기업 매각을 “완전 반대한다”며 “세제 혜택, 관세로 미국 철강업을 다시 강하고 위대하게 만들겠다"고 밝혔다.

최근 일본제철의 US 스틸 인수가 사실상 불허된 상황에서 직접 투자 검토를 통해 관세 정책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량은 쿼터제에 묶여있는 데다, 멕시코와 캐나다산 철강 제품에 25%, 한국산 등 전 세계 대상 10~20% 보편 관세를 매길 경우 미국 외 제품은 경쟁력이 떨어지게 된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가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철강에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대한국 철강 수입량을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약 383만톤)의 70%로 축소한 쿼터를 적용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은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톤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는 이 물량을 더 줄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따라서 현대제철이 미국에 대형 제철소를 새로 건설하면 현대차그룹 차원의 자동차 사업 안정화에 더해 제약된 한국 제철 산업의 대미 사업에도 활로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