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 판결로 회계상 퇴직충당부채 등 반영하고도 470억원 이익 남겨

[사진=이마트]
[사진=이마트]

【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이마트가 지난해 2603억원의 ‘실질 영업이익’을 올리며 수익구조 개선에 성공했다.

이마트는 2024년 연간 연결기준 순매출이 29조209억원, 영업이익은 471억원이라고 11일 공시했다. 

영업이익 471억원은 전년 보다 940억원 개선된 실적이으로 통상임금 판결로 인해 실제 현금 유출 없이 회계상 인식된 퇴직충당부채와 희망퇴직보상금 등을 더한 2132억 원의 대규모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수치다. 이를 제외할 경우 ‘실질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3072억원 증가한 2603억원이다. 

이마트는 많은 고용인력과 높은 장기 근속자 비율 때문에 통상임금 판결로 인한 회계상 비용인 퇴직충당부채를 상대적으로 크게 떠안았다. 대형마트는 업태 특성상 타 산업군 대비 직원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업계 1위인 이마트는 경쟁사 대비 최대 2배이상 많은 인력을 운영하고 있어 비용 증가 폭이 더 클 수 밖에 없다.

이마트의 2023년말 현재 종업원 수는 별도 기준으로 2만2744명으로 국내기업 10위권 내 수준이며, 연결 기준으로도 5만8500명에 이른다.

또한, 대형마트 업태 특성상 긴 영업시간과 휴일 영업으로 인해 초과근로 수당과 휴일수당 비중이 높고, 이번 통상임금 판결로 이러한 수당이 퇴직충당부채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비용부담이 더욱 커졌다.

별도 기준 연간 총매출액은 16조9673억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218억원으로 전년 대비 662억원 감소했다. 다만 1398억원에 이르는 퇴직충당부채 등 일회성 비용을 제외할 경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2616억원을 기록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에 퇴직충당부채 소급분은 일시에 반영했으며 2025년부터는 통상임금 판결로 인한 영향은 미미하여 올해 실적 개선 폭이 더욱 커질 것이다”라며 “본업경력 강화와 수익성 개선에 더욱 집중해 실질적 성과를 이어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4분기 연결기준으로 이마트는 현금 유출 없는 퇴직충당부채와 희망퇴직보상금 등을 합한 대규모 일회성 비용으로 명목상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4분기 연결 기준 순매출은 7조2,497억원(-1.4%), 영업손실은 7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억원 개선됐다. 별도 기준으로도 총매출 4조2525억원(+4.7%)을 기록했으나, 영업손실은 732억원이었다.

하지만 이는 4분기에 집중 반영된 일시적 대규모 비용(연결 1895억원, 별도 1248억원)을 제외하면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비 1979억원 개선된 1124억원, 별도 영업이익은 516억원이다.

사실상 큰 폭의 실적 개선을 달성한 셈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4분기의 경우 통상임금 판결로 인한 회계상 대규모 비용 등이 일시 반영되며 표면상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이를 제외할 경우 본질적인 영업 성과 개선에 따른 사실상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