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경기도소방학교 관련 사업 수주
생성형 AI 기반 공공업무 하이퍼오토메이션 혁신 지원
![삼성SDS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존. [사진=삼성SDS]](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3/240666_139222_3429.jpg)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삼성SDS가 행정안전부 공공 클라우드 사업을 연달아 수주하면서 공공분야 디지털 혁신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SDS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기반으로 행정안전부 ‘온나라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과 경기도소방학교 ‘스마트 소방 교육·관리 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을 수주했다고 4일 밝혔다.
온나라시스템은 지식, 커뮤니티, 전자문서, 메일, 영상회의 등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공무원 등이 사용하는 업무시스템이다. 삼성SDS는 지식, 커뮤니티 등 일부 시스템을 SCP로 전환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가 제공 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 교육·관리 시스템은 경기도소방학교의 교육 운영 혁신을 위해 교육 대상자의 거주지나 근무지와 관계 없이 다양한 소방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삼성SDS는 SCP로 시스템을 원활하게 제공하는 한편, 향후 전국 소방교육기관 공동 운영을 위한 기반 환경 구축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에 구축된 삼성SDS의 SCP는 국가기관 전용 기반시설과 보안 인프라 환경을 이용하며, 인터넷망과 행정업무망, 공공업무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운영한다.
또 삼성SDS는 GPUaaS(GPU as a Service, 구독형 GPU 서비스)를 제공, 생성형 AI(인공지능)를 활용하고자 하는 행정·공공기관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미 일부 정부기관에 SCP와 GPUaaS를 적용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업무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삼성SDS 관계자는 "공공분야 업무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시범 프로젝트에서 높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행정·공공기관 업무의 하이퍼오토메이션 혁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삼성SDS "생성형 AI 도입 시 보안 위협 증가...지능형 보안관제 시스템 필요"
- 삼성SDS, 지난해 영업익 9111억원...전년 동기 比 12.7% 증가
- 삼성SDS, IDC 선정 국내 클라우드 사업자 1위..."차별화된 컨설팅 강점"
- 삼성SDS, 신임 사장에 이준희 삼성전자 부사장 내정..."갤럭시 기술 혁신 이끈 베테랑"
- 삼성SDS, 양자내성암호 국가공모전에 표준 알고리즘으로 선정
- 삼성SDS, 주총 성료 "올해 생성형 AI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 삼성SDS-SAP, 클라우드 ERP 사업 협력 고도화 추진
- 삼성SDS, AI 데이터 기반으로 물류 혁신 '앞장'
- 삼성SDS, '인더스트리 데이' 개최...디지털 제조 혁신 전략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