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관세 전쟁에 일정 재조정 예상 깨고 예정대로 추진
美상호관세 경쟁국 中·베트남 비해 월등히 낮아 되레 수혜
LG전자 "시장상황 또는 사전수요 예측 결과 등 따라 결정"
![구광모 ㈜LG 그룹 회장(왼쪽에서 세번째)이 인도 뉴델리에 위치한 LG전자 노이다 생산공장을 찾아 에어컨 생산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LG]](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4/243076_142252_5012.jpg)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트럼프발 관세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에 LG전자인도법인의 현지 주식시장 IPO(기업공개) 계획이 조정될지 주목된다.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시기에 무리하게 IPO 를 진행하기보다는 신중하게 일정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기 때문이다. 반면, 관세 리스크에 오히려 인도시장 투자 매력도가 커졌다는 주장도 나온다. 인도 현지 매체 등 외신은 미국의 인도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경쟁국 중국, 베트남 등과 비교해 크게 낮아 경쟁력이 높아졌다는 분석을 내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트럼프의 관세 등 통상 환경 불확실성에도 인도 IPO 일정을 계획에 따라 차질없이 추진중이다. 상반기 내 인도법인 상장을 마치기 위해 후속 보강 자료 등을 제출한 상태로, 상장 승인 절차가 진행 중으로 전해졌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12월 2차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일환에서 인도법인 IPO를 위한 상장 예비 심사서류를 인도 증권거래 위원회(SEBI)에 제출했다고 발표했다.
LG전자 관계자는 향후 IPO 일정에 대해 "최종 상장 여부는 시장 상황 또는 사전 수요 예측 결과 등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IPO에서 LG전자는 최대 15억달러(약 2조2000억원)의 투자금을 조달받아 인도 현지 생산기지 확대에 나선다. 2026년 가동을 목표로 인도 남동부 안드라프라데시주 근처 스리시티에 가전제품 제3공장을 짓고 현지 완결형 생산체계를 구축해 인도 시장점유율을 높인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인도 노이다와 푸네에 이어 스리시티까지 LG전자는 인도에만 총 3곳의 가전 생산 기지를 보유하며 현지 생산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인도는 소비력이 높은 중산층이 빠르게 증가하는데다 현지 정부의 제조업 육성 지원책이 뒷받침 되면서 성장 가능성이 높게 전망되고 있다. 구광모 LG회장이 2월 인도 출장에서 노이다 LG전자 가전 공장을 찾아 '골든타임'을 강조했던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다만 일각에서는 LG전자의 이같은 미래 청사진이 계획대로 이행될지 조심스러운 시각도 존재한다. 트럼프가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한 상태지만, 관세 리스크가 여전히 남아 있어 인도 IPO를 단행하기엔 투자 심리가 썩 좋지 않은 까닭에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트럼프가 관세 정책에서 오락가락하면서 불확실성이 큰 점은 인도 IPO 추진에 긍정적인 요소는 아니라고 본다"면서 "LG전자도 최적의 시점을 위해 시장동향 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시장 불확실성이 LG전자의 IPO 추진에 큰 걸림돌이 되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더 우세하다. 오히려 인도 정부가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 따라 투자 촉진을 위한 규제 개혁 등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현지 매체의 보도가 나오면서 IPO 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모습이다.
인디아타임즈는 9일 현지 경제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인도는 (관세)보복보다는 협상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아 단기적인 하락 후 하반기에 회복될 것"이라며 "인도의 강력한 국내 제조업과 PLI(생산 연계 인센티브) 제도,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을 통한 지속적인 정부 지원이 인도의 경제적 회복력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가 앞서 발표한 상호관세율로만 놓고 봐도 인도는 26% 수준으로 베트남(46%), 태국(36%)에 비해 낮은데다 100%가 넘는 관세율이 매겨진 중국과 비교해도 경쟁력이 월등히 높다.
이와 관련 인디아타임즈는 "관세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전자 제품 수출 분야에서 중국, 베트남, 태국과 같은 국가보다 더 강력한 위치에 있다"라면서 "인도의 전략적 포지셔닝, 다각화된 제조 기반, 활발한 무역 외교는 인도가 큰 차질 없이 리스크를 헤쳐 나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