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하만 인수 이후 8년 만에 최대 규모…블룸버그, "공격적 M&A 복귀 신호"

삼성전자 서초사옥, (오른쪽)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서초사옥, (오른쪽)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 삼성전자는 2조4000억원에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인 독일 플랙트그룹을 인수한다.

고성장하는 글로벌 공조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위한 포석으로 하만을 80억 달러(11조 3000억)에 사들인 2017년 이후 8년 만의 최대 규모 M&A(인수·합병)다.

이번 인수에 앞서 삼성전자는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AI(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메드텍(소니오), 오디오/전장(룬,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 등 미래 성장 산업 관련 기업을 잇따라 인수하면서 미래 먹거리 확보가 총력을 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14일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이 보유한 플랙트 지분 100%를 15억유로(약 2조40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독일 서부 헤르네에 본사를 둔 플랙트는 데이터센터와 공장 클린룸, 산업·주거용 건물 등의 냉각 설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냉난방공조(HVAC) 업체다.

공조사업은 가정과 다양한 상업, 산업 시설에 최적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온습도를 제어하는, 인류의 삶과 연관된 핵심 산업으로 지구온난화, 친환경 에너지 규제 등으로 글로벌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공조사업 중 공항, 쇼핑몰, 공장 등 대형 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중앙공조 시장은 2024년 610억 달러에서 2030년 990억 달러로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신들은 삼성전자의 플랙트 인수 추진이 인공지능(AI) 개발 붐에 따른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B2B(기업간거래) 사업을 확장하려는 전략이라고 풀이했다.

데이터센터 부문은 2030년까지 441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8%의 높은 성장률로 공조 시장을 견인하고 있으나, 글로벌 공급 경험, 최적의 설계와 솔루션 제시 역량을 갖춰야하는 등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이다.

이에 삼성전자는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플랙트를 전격 인수, 글로벌 공조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빌딩 통합 제어솔루션(b.IoT, 스마트싱스)과 플랙트의 공조 제어솔루션(FläktEdge)을 결합해, 안정적이고 수익성이 좋은 서비스, 유지보수 사업의 확대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는 가정과 상업용 시스템에어컨 시장 중심의 개별공조(덕트리스, Ductless) 제품으로 공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번 인수합병에 대해 “삼성전자가 '공격 모드'로 복귀했다는 신호이기도 하다”면서 “반도체와 가전, 스마트폰 등 산업 전반에서 둔화된 성장을 회복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은 “삼성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등에 수요가 큰 중앙공조 전문업체 플랙트를 인수하며 글로벌 종합공조 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속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3월 주주총회 때 한종희 당시 삼성전자 부회장은 HVAC과 로봇공학, 의료기술 분야에서 인수합병을 추진해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