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이윤희 기자】 최근 서울 아파트 가격이 연간으로 환산 때 10% 넘게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계 투자은행 씨티는 최근 보고서에서 "서울 아파트 가격이 연율 기준 10% 넘게 상승했다"며 "금융안정 관점에서 한은이 용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씨티는 이달 둘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의 4주 이동평균치가 0.185%로, 이를 연간으로 치면 10.2%에 달한다고 말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이달 둘째 주(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보다 0.26% 올랐다. 지난해 8월 넷째 주(8월 26일 기준, 0.26% 상승) 이후 40주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5월 첫째 주만해도 0.10%를 밑돌았으나 둘째 주 0.10%. 셋째 주 0.13%, 넷째 주 0.16%에 이어 6월 첫째 주 0.19% 등으로 가파르게 높아지고 있다.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한은이 올해 8월과 11월, 내년 2월에 각각 0.25%포인트(p)씩 인하하면서 기준금리가 연 1.75%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주택가격이 추가로 상승한다면 다음 금리 인하 시점은 8월에서 10월로 늦춰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은은 지금도 주택가격 상승세에 관해 경고 메시지를 내고 있다. 이창용 총재는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유동성 공급이 기업 투자나 실질 경기 회복보다 자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금통위원들은 서울 지역 부동산 가격과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서 금리를 결정해야 한다는 데 같은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빅컷(0.50%p 인하)을 하지 않은 이유를 묻는 취지의 질문에도 "기준금리를 너무 빨리 낮추면 주택 가격이 오르는 등 코로나19 때 했던 실수를 반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지난 12일 한은 창립 제75주년 기념식에서도 "기준금리를 과도하게 낮추면 실물경기 회복보다 수도권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며 "지난 3월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이 연율 기준으로 약 7% 상승했고,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확대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이재명 행정부가 이달 내에 주택 시장 안정화 정책을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고가 주택에 주택담보대출 취급 제한 조치를 다시 도입하거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현재 서울 4개 구(강남·서초·송파·용산)에서 확대될 수 있다고 봤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