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각각 500명씩 설문조사, 연공급 임급체계 개편엔 세대 모두 공감

[그래프=한국경영자총협회]
[그래프=한국경영자총협회]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법정 정년 연장’ 문제에 대한 미취업 청년과 중장년 재직자의 인식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현재 구직 활동 중인 미취업 청년(20~34세) 500명과 중장년 재직자(최소 15년이상 정규직, 45~59세) 각각 500명에게 ‘법정 정년이 60세에서 65세로 연장될 경우 청년층 신규 채용에 미칠 영향’을 물은 결과, 미취업 청년은 61.2%가 ‘채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답한 반면, 중장년 재직자는 ‘영향 없음’이라는 응답이 50.6%를 차지했다고 23일 밝혔다. 

청년층 응답 가운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은 32.4%였고, 채용이 증가하리라는 응답은 6.4% 뿐이었다. 반면 중장년 재직자의 43%도 신규 채용이 줄어들 것이라는 청년층 전망에 동의했고,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6.4%에 그쳤다.

정년연장으로 조직 내 고령자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업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세대 간 시각차가 두드러졌다. 미취업 청년의 59.0%는 ‘작업 효율이 떨어질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낸 반면, 중장년 재직자 중 62.6%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해 고령 인력의 생산성과 역할에 대한 인식 격차가 확인됐다.

조직 내에 고령자 비율이 높아질수록 세대 갈등이 심화할 것으로 우려되는지에는 미취업 청년의 80.8%가, 중장년 재직자의 63.2%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연공서열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에 대한 필요성은 두 세대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77.0%가 개편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특히 미취업 청년은 82.2%, 중장년 재직자는 71.8%가 ‘개편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근속 연수에 따라 자동적으로 임금이 오르는 현행 호봉제가 세대 간 임금 형평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행 정년을 넘긴 고령자의 계속 고용을 위해 바람직한 방식에 대해선 미취업 청년은 ‘기업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라는 응답이 36.8%로 가장 많았지만, 중장년 재직자는 ‘정년 연장’이라는 답이 46.8%로 최다였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정년 이후 고령자 계속고용은 청년층 일자리, 임금체계의 공정성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복합적 문제”라며 “고령자의 노후 안정을 위해 청년의 기회를 희생시키는 제도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법정 정년연장처럼 일률적인 방식은 기업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청년층의 좌절감을 키울 수 있다”며 “세대가 함께할 수 있는 ‘퇴직 후 재고용’ 같은 유연한 정책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키워드

#정년연장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