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기업 인텔은 경영난을 겪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 반도체기업 인텔은 경영난을 겪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이윤희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경영난을 겪고 있는 반도체 기업 인텔의 지분을 10% 취득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19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을 활용해 인텔 지분 확보를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거래(bargain)의 혜택을 받아야 한다고 판단한다"며 "왜 1000억달러 가치의 기업에 이런 돈(반도체법 보조금)을 줘야 하나. 미국 납세자들에게 어떤 이익이 있나. 트럼프의 답변은 우리 돈에 대한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 때 약속한 돈을 제공할 것이다. 그 대가로 지분을 얻을 것이며, 미국 납세자를 위한 좋은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했다.

바이든 행정부 때인 지난해 11월 미 상무부는 최첨단 반도체 역량을 발전시키고 일자리 수만개를 창출하기 위해 인텔에 최대 78억6500만달러(약 10조9000억원)의 직접 자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이를 포함해 상업·군사용 반도체 생산을 위해 총 109억달러 규모의 보조금을 받을 예정이었다.

지난 15일 기준 인텔의 시가총액은 1075억달러로, 보조금이 전액 지급될 경우 연방 정부가 취득하는 인텔 지분은 약 10%에 이른다. 이 조치가 실행되면 미국 정부는 인텔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러트닉 장관은 "반도체법은 단순히 부유한 기업에 돈을 주는 것이었다. 미국이 왜 TSMC 같은 기업에 돈을 주나. TSMC는 1조달러 가치의 기업"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이 그냥 주려 했던 돈을 미국인을 위한 지분으로 바꾸자'고 한 것이며, 이 돈을 트럼프 대통령의 손에 맡기면 미국 납세자를 위한 더 좋은 거래가 될 것"이라고도 말했다.  

미 정부는 인텔의 최대 주주가 될 수 있다는 데 대해서 러트닉 장관은 "경영권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의 보조금을 트럼프 행정부의 지분으로 전환하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정부가 인텔에 투자하는 이유에 대해선 "국가 안보를 위해 우리는 직접 반도체를 만들어야 한다. 미국에서 9500마일 떨어져 있고, 중국과 단지 80마일 떨어진 대만에 의존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한국·일본과의 무역협상 결과 이들 국가가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9000억달러(일본 5500억달러, 한국 3500억달러)를 "중국이 경쟁해온 인프라를 고치는 데 쓸 것"이라며 "우리는 반도체를 만들어야 하고 파이프라인을 건설해야 하며 원자력 발전소를 지어야 한다. 국가 안보와 경제 안보를 위해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이 직접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전날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 10% 지분 인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를 확인한 것이다. 

전날인 18일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계 투자기업 소프트뱅크그룹도 인텔에 20억달러(약 2조8000억원)를 투자했다.  소프트뱅크그룹은 이번 계약에 따라 인텔 보통주를 주당 23달러에 매입하게 되며, 18일 시가총액(약 1036억달러) 기준 전체 약 2%의 지분을 취득한다.

손 회장이 투자를 전격 결정한 것은 미국 정부의 지분 인수로 인텔의 경영 정상화에 가까워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미·일 무역 협상 타결 당시 일본이 미국에 55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것의 일환이라는 해석도 내놨다. 

인텔 주가는 경영 정상화 기대감에 이날 7% 가까이 급등했다. 미 동부 시간 이날 뉴욕 증시에서 인텔 주가는 전날보다 6.97% 상승한 25.31달러에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주가는 전날보다 5% 이상 상승 출발한 뒤 상승 폭을 두자릿수까지 넓히며 지난 2월 18일(27.55달러) 이후 가장 높은 26.53달러까지 급등하기도 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