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3일 미국 수도 워싱턴DC의 백악관에서 대만 반도체기업 TSMC의 미국 내 투자 계획에 관해 발표하는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지난 3월 3일 미국 수도 워싱턴DC의 백악관에서 대만 반도체기업 TSMC의 미국 내 투자 계획에 관해 발표하는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어진 기자】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에 100억달러를 투자하는 것 이외에도 삼성전자를 비롯한 미국에 공장이 있는 다른 반도체 업체에도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19일(현지시간) 백악관의 한 관료와 이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전날 미국 행정부가 100억달러를 투자해 인텔의 지분 10%를 인수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현재 마이크론, 삼성전자, TSMC 등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제정된 반도체 법에 따라 지원금을 받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전인 지난해 말 삼성전자에 47억5000만달러, 마이크론에 62억달러, TSMC에 66억달러의 보조금을 각각 확정했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원금을 대가 없이 지급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대가로 각 기업의 주식을 확보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정부가 이런 방식으로 대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로이터는 "비슷한 사례로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일본 니폰제철의 미국 US스틸 인수 건을 승인하면서, 투자 약속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 '황금주(Golden share)' 조건을 붙인 바 있다"며 "이는 투자 축소 및 해외 이전, 공장 폐쇄 등을 대통령 승인 없이는 하지 못하게 하는 장치"라고 설명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인텔 지분 10% 인수 추진을 확인하며 “대통령은 국가 안보와 경제적 관점 모두에서 미국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며 “이를 위해 이전에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로이터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이 과정에 참여하고 있지만,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이 작업을 주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상무부가 반도체 법으로 알려진 이 법안에 따라 조성된 모두 527억달러 규모의 자금 운용을 책임지고 있어서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