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15만개로 편성에 확대해달라 요구...5년내 140만개로 늘려야
![지난 7월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대한은퇴자협회 회원들이 노인일자리 확대 등을 요구하며 집회를 하고 있다. [사진=대한은퇴자협회]](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9/251970_151860_5621.png)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대한은퇴자협회(KARP)가 정부의 2026년도 예산안에 담긴 노인 일자리 확대 방안에 아쉬움을 표하며, 보다 적극적인 정책 보완을 촉구하고 나섰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을 728조원 규모로 편성하며 노인 일자리를 기존 110만개에서 115만개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한은퇴자협회는 “증원 규모가 기대에 못 미친다”며 최소 120만개 수준으로 상향하고, 향후 5년간 140만 개까지 늘리는 단계적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은퇴자협회 주명룡 대표는 성명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은 2022년 대선 당시 노인 일자리 140만개 창출을 공약하며 초고령사회 대응 의지를 밝힌 바 있다”며 “그러나 내년도 목표치는 115만개에 그치고 있다. 경제 여건을 감안하더라도 최소 10만개를 증원해 120만개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노년층에 진입하는 지금은 긴축보다는 투자와 연대가 필요한 시기”라며, 노인 일자리 확대를 단순한 복지정책이 아닌 국가 경제 전략이자 세대 연대의 상징으로 규정했다.
이어 “인력 감소 시대에 대응할 대안으로서 노인 일자리는 초고령사회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은퇴자협회는 지난 7월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회원들과 함께 집회를 열고, 노년 정책 실행을 촉구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노인 일자리 140만개 공약 이행을 비롯해 노년 정책 4대 핵심 요구사항이 담긴 성명서를 대통령실에 전달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한편, KARP는 UN 경제사회이사회에 등록된 NGO로, 지난 20여 년간 한국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 속에서 연령차별금지법, 주택연금, 정년 연장, 기초연금, 세대통합 등 다양한 제도 개선 활동을 이어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은퇴는 새로운 시작"...레이건이 제정한 세계시니어시티즌데이, 한국서도 3회째 행사
- 은퇴자협 “청년담당관 신설 환영, 그런데 노년담당관은 안 만드나”
- 대한은퇴자협 "대선공약 노인일자리 140만개, 2년내 실현" 촉구
- [100세 시대] 2050년 기초연금재정 120조원 폭발…‘세대 갈등 시한폭탄’ 해법 없나
- 은퇴자협회, 연금개혁 지연에 경고…“노후는 정치의 전리품 아니다”
- [100세 시대] “115세까지 일할 의지 넘치는데”...노인취업 대기자 23만명 ‘역대 최대’
- [100세 시대] 일하는 노인 300만명 ‘그나마 비정규직’...70세 이상도 120만명
- [100세 시대] 더 일해야 하는 사회...“정년과 연금사이, 삶을 잇는 다리가 필요하다”
- [100세 시대] ‘정년 65세 시대’ 눈 앞에...‘시니어 삶’ 구조를 바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