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이후 국정감사 개시…국토위는 13일 예상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건설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9/253547_153515_88.jpg)
【뉴스퀘스트=이윤희 기자】새 정부 출범 이후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건설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산재 무관용' 기조에도 불구하고 현장 사망사고가 이어지고 있어, 이번 국감이 건설업계를 정조준하게 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환경노동위원회 국감에 소환될 건설사로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이앤씨 ▲DL건설 등이 유력하게 꼽힌다. 아직 증인·참고인 명단은 확정 전이다.
이들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기업인들이 무더기로 증인과 참고인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올해 현대엔지니어링 고속도로·교량 공사장에서 추락과 붕괴 사고로 6명이 숨졌고, 포스코이앤씨 현장에선 4명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8월 DL건설의 경기 의정부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도 사망 사고가 이어졌다.
이밖에도 9월 들어 GS건설의 서울 성동구 아파트 건설현장, 대우건설의 울산 북항터미널 현장과 시흥 아파트 현장, 롯데건설의 김해 아파트 현장 등에서 사망 사고가 발생해, 이들도 국감 출석 명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최근 5년(2020~2024년)으로 시계를 넓혀 보면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건설사는 현대건설로 17명이었고, 같은 기간 롯데건설(14명), 대우건설(13명) 역시 두자릿수 사망자가 발생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해 국정감사에도 전중선 사장이 증인으로 나온 바 있다. 올해까지 증인명단에 포함되면 2년 연속 출석하게 된다.
정부와 여당은 산업재해와의 전쟁을 예고해왔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면허취소’를 직접 언급하는 등 건설업 산업 재해에 대해 전방위로 압박했다. 여당은 중대재해가 빈발하는 기업에 초고액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건설안전특별법 제정 속도을 추진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7월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의 잇따른 사망 사고를 두고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질책한 데 이어 또 연이어 사고가 발생하자 “면허 취소 등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보고하라”, “모든 산재 사망 사고는 최대한 빠른 속도로 대통령에게 직보하라”고 말했다.
각 기업의 대관 조직은 국감을 앞두고 국회에 상주하다시피 하고 있다. 한 대기업 대관팀 관계자는 "사장이 국감에 출석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앞서, 증인 명단 확정 전 채택 자체를 막는 게 지금 당면 과제지만 쉽지 않아 보여 걱정이다"라고 전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국감이 다음달 13일부터 3주 동안 진행된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