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상품추천, 마켓 솔루션 등 공개...하반기 B2B까지 확대
생성형 AI 모델 '익시젠' 탑재...사람 수준의 추론 능력 갖춰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챗 에이전트를 소개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뉴스퀘스트]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챗 에이전트를 소개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LG유플러스가 고객 상담부터 상품 추천, 솔루션 제공까지 가능한 인공지능(AI) 챗 에이전트 플랫폼 출시에 나선다.

LG유플러스는 ▲U+상담 에이전트 ▲ 장애상담 에이전트 ▲유독 AI 상품추천 에이전트 ▲U+비즈마켓 솔루션 안내 에이전트 등 4종의 챗 에이전트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자체 개발한 AI 기술 '익시'를 적용해 단순 업무 수행을 넘어 사람과 유사한 수준의 업무가 가능할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자사 서비스와 사내 업무에 우선 적용한 뒤 B2B(기업간거래) 영역으로까지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또 하반기에는 너겟 요금제 상담, 소상공인(SOHO) 기업 고객 상담을 위한 챗 에이전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챗 에이전트를 시작으로 모바일, AI콜센터(AICC), IPTV, 구성원 업무 지원 등 업무 전 영역을 혁신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며 본격적인 AI 비서 시대를 개척한다는 방침이다.

AI 챗 에이전트는 정해진 패턴에서만 대화가 가능했던 챗봇과 달리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AI 기술을 활용해 시나리오에 없는 전문적인 질문과 명령도 이해할 수 있다. 해당 플랫폼에는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모델 '익시젠'이 탑재됐다.

LG유플러스 측은 "기존 챗봇 상담은 정해진 패턴을 벗어나거나 질문이 복잡해지면 상담사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챗 에이전트의 경우에는 자사의 풍부한 고객 상담 이력을 학습한 만큼 상담사와 같이 스스로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가령 고객이 '로밍 요금제 추천'을 문의하면 AI 챗 에이전트는 방문 예정인 국가와 기간, 과거 사용 내용 등의 정보를 토대로 상황별 요금제를 답변해줄 수 있다.

또 '인터넷 이전'을 물어보는 경우에도 원하는 날짜를 입력하면 AI 챗 에이전트가 인터넷선 철거와 신규 설치를 대신 신청하고, 가입 상품 변경시 적절한 요금제를 추천하는 식으로 대화가 이어질 수 있다.

성준현 LG유플러스 AI·데이터프로덕트 담당(상무)는 “이번에 출시한 챗 에이전트 플랫폼의 강점 중 하나가 플랫폼 호환성”이라며 “AICC, 모바일 에이전트 등 향후 출시할 AI 에이전트 플랫폼에 챗 에이전트를 손쉽게 적용해 활용함으로써 기존에 없던 새롭고 차별적인 고객경험을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