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새 시멘트 가격 42.1%, 레미콘 32%, 골재 36.5% 상승
자잿값 인상에 4월 전국 민간 아파트 ㎡당 평균 분양가 전월 비 0.89% 늘어
전문가 "주택공급 활성화 돼야 가격 경쟁 이뤄지고 분양 가격 안정화 도움"

최근 3년 새 시멘트 가격 42.1%, 레미콘 32%, 골재 36.5% 올랐다. 이는 공사비 인상과 결국 분양가 상승이라는 문제를 낳고 있다. [사진=뉴스퀘스트]
최근 3년 새 시멘트 가격 42.1%, 레미콘 32%, 골재 36.5% 올랐다. 이는 공사비 인상과 결국 분양가 상승이라는 문제를 낳고 있다. [사진=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원자재가격과 인건비 등 공사비 상승 영향으로 전국의 민간아파트 분양가격이 오르고 있다.

문제는 당분간 아파트 분양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주요 자재인 레미콘 가격과 철근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데다가 내년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의무화 등으로 건축비 상승이 예상되면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분양가 상승은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하면서도, 가장 우선적으로 분양 시장 안정을 위해 주택공급을 빠른 속도로 추진해야 된다고 강조한다. 

주택 가격이 경쟁속에서 이뤄져야 분양 가격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공사비 중 가장 큰 축을 차지하고 있는 자재비는 많게는 전체 비용의 최대 40%를 차지하고 있어 자재비가 상승하면 공사비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시멘트는 주요 원자재인 유연탄 가격과 전기요금 인상, 공장 내 친환경설비 설치비용 등으로 최근 3년간 42.1% 올랐다.

시멘트 제조 과정에는 유연탄이 필요한데 유연탄 공급의 70% 정도를 차지했던 러시아산이 전쟁으로 인해 공급이 중단된 영향이 컸다.

레미콘 가격 역시 같은 기간 32%, 골재 공급원 부족과 유통비 상승 등의 원인으로 골재도 3년간 무려 36.5% 상승했다.

중국의 철강 수출제한 영향으로 수급 불안이 발생한 철근 역시 가격이 급등했으며, 공사비 상승의 또 다른 원인인 인건비 역시 3년 새 15.8% 인상됐다.

이 같은 공사비 인상은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장기화로 인해 이 지역에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해 왔던 철강 제품이나 목재 등의 공급이 막혔다”라며 “전쟁이 장기화 될수록 자재를 보다 먼 곳, 보다 비싼 곳에서 수입하다 보니 물류비용이 증가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른 공사자재비 상승은 분양가를 올릴 수 밖에 없는 요인이 되고 있다”라며 “당분간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업계의 시선이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주택도시공사(HUG)의 4월 말 기준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민간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격(공급면적 기준)은 568만3000원으로 전월보다 0.89% 상승했다. 지난해 동월과 비교하면 무려 17.33% 오른 수치다.

현재 원자재 가격이 떨어질 요인이 없기 때문에 당분간 분양가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분양 시장 안정을 위해서라도 정부의 정책 지원과 함께 건설사들이 주택공급을 좀 더 빠른 속도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건설사 입장에서는 생산비용이 너무 상승하고 있으니 이를 분양가에 얹을 수밖에 없고 또 소비자 입장에서는 지금 주택을 구매하는 것 자체가 부담이 크다”며 “분양 시장은 공급과 수요 모두 소극적일 수 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현재로써는 건설 자재 가격이 굳어진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당분간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김영덕 선임연구위원은 전망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지금 가장 우선적인 것은 분양 시장 안정을 위해 주택공급을 좀 빠르게 가져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주택 가격이 경쟁속에서 이뤄진다면 또 필요로 하는 지역에서 공급된다고 보면 분양 가격 안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건설사들은 자잿값 상승과 현재 부동산 시장 예측이 어렵다는 부분에서 무턱대고 사업을 진행하긴 쉽지 않아 보인다”면서 “상대적으로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수도권 지역에서는 저가형 주택 공급 방안을 깊이 있게 고려하지 않으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 이다”라며 정부의 조속한 대책 마련을 당부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하루가 멀다하고 오르는 공사비로 인해 일부 정비사업장에서는 갈등을 빚고 있는데 여기에 내년 정부의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과 층간소음 대책 등이 실행되면 건축비 상승 요인이 추가 발생한다”라며 “건설업계의 부담을 덜어주고 분양시장을 안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