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탄소화 및 탄소포집 기술 발달로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 수요 증가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 한화오션이 차세대 친환경 선박인 대형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의 상용화에 성큼 다가섰다.
한화오션은 그리스에서 열리고 있는 ‘포시도니아 2024’에서 4만㎥급 대형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이하 LCO2운반선)에 대한 기본승인(AIP, Approval In Principle)을 ABS로부터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
미국 선급인 ABS(American Bureau of Shipping)는 세계 4대 선급 중 하나다.
지난해부터 한화오션은 ABS를 비롯해 그리스의 에코로그(Ecolog), 스코틀랜드의 밥콕LGE와 함께 4만㎥급 대형 LCO2운반선 개발을 위한 4자간 업무 협약(JIP: Joint Industry Project)을 맺고, LCO2운반선의 기본성능 및 구조 안전성, 화물운영시스템(CHS, Cargo Handling System)의 개념설계 검증 등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화물창의 압력 조절에 실패하면 액화 이산화탄소는 드라이아이스를 형성해 선박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액화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화물운영시스템은 LCO2운반선 대형화의 핵심으로 꼽힌다.
한화오션은 선박의 추진 성능에 관한 종합적 검토와 LCO2운반선의 핵심인 화물창 등 선박의 상세 설계에 관한 업무를 총괄했다.
에코로그는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분야에 특화된 업체로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 관련 글로벌 업계의 요구 사항과 선박 운항 노하우를 제공했다.
그리고 밥콕LGE는 화물운영시스템 개발 전문 업체로 재액화장치를 포함한 화물운영시스템 관련 설계 개발 업무를 도왔으며, 미국 ABS 선급은 이번 협업에서 전체적인 설계 사양에 관한 규정을 살피고 승인하는 역할을 맡았다.
최근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처리하는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 기술이 각광받으면서 이산화탄소를 저장시설로 옮기기 위한 운반선의 개발도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70 글로벌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CCUS의 기여도를 총 이산화탄소 감축량의 15% 수준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저장시설까지 운반하는 LCO2운반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유럽을 중심으로 7500~2만㎥ 규모의 소형 LCO2 운반선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나, 향후 아시아, 호주, 미주 등 장거리 운송이 필요한 시장에서 4만㎥ 규모의 대형 LCO2운반선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이번에 ABS의 기본승인을 받은 선박은 액화 이산화탄소의 대량 운송이 가능한 신개념 운반선으로 운항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며 “향후 7만㎥ 이상의 초대형 LCO2운반선의 개발에도 지속적으로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한화오션, 대형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 기본승인 획득
- 한화오션, 친환경 기술 집약 '초대형 암모니아 운반선' 공개
- 한화오션, 캐나다 최대 방산 전시회 참가...현지 기업과 사업 협력 강화
- 한화오션, 폴란드 해군 현대화 사업 수주 총력전...현지 파트너십 강화
- 한화오션, 대형 해상풍력설치선 물 띄우기 성공...해상풍력 밸류체인 본격 강화
- 한화그룹, 美 상선‧방산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필리 조선소 인수
- 한화오션, 폴란드 최대 해양 포럼서 '장보고-III' 전시...'오르카' 사업 수주 총력
- 한화오션 ‘명품 함정 3형제’, 다국적 해상훈련 ‘림팩’ 출격...한화오션의 역량 보여줄 것
- 한화오션, 스마트 조명 제어 타당성 '검증'...친환경 선박 기술 상용화 '박차'
- 한화오션, 美 MRO 사업 진출 교두보 마련...미 해군과 '함정정비협약' 체결
- 한화오션·한화시스템, 호주 해양방산 전시회 첫 참가...첨단 함정역량 과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