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남동발전의 지속가능연계채권, 성공적 발행 주관 완료
![KB증권은 한국남동발전이 최근 발행한 지속가능연계채권(SLB, Sustainability-Linked Bond)을 단독 주관했다고 1일 밝혔다. [KB증권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8/228615_124668_461.jpg)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KB증권이 공공기관이 최초로 발행한 ‘지속가능연계채권’(Sustainability-Linked Bond·SLB)의 단독 주관 역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1일 KB증권(사장 김성현·이홍구)은 한국남동발전이 최근 발행한 지속가능연계채권을 단독 주관했다고 밝혔다.
한국남동발전은 3년 만기 500억원 규모의 지속가능연계채권과 5년 만기 회사채 600억원 총 11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국내 공공기관 최초 SLB 발행 사례로 민간 기업뿐 아니라 공공기관까지 SLB 시장 저변이 확대됐다는 게 KB증권 측 설명이다.
SLB는 ESG(환경·ᆞ사회·지배구조)채권의 한 종류로 국내에는 2022년 9월 도입됐다.
KB증권에 따르면 ESG채권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은 글로벌 시장과 달리 국내 SLB 시장은 시장 초기 단계로 다소 생소한 영역이다.
지난해 7월 KB증권은 현대캐피탈의 국내 최초 2200억원 규모 SLB 발행을 공동 주관해 민간 기업 SLB 트랙레코드를 쌓은 바 있다.
당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단독 주관에서 투자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참여를 이끄는 데 역량을 집중했다.
SLB는 발행사가 사전에 지속가능성과목표(SPT)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일정 수준의 프리미엄을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특징이 갖고 있다.
한국남동발전은 이번 발행에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기준연도인 2018년 대비 2025년 온실가스 감축률 41% 이상 달성을 목표로 설정한 상태다.
만약 이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만기에 채권 금리 외 연 0.02%포인트에 해당하는 프리미엄을 추가로 지급한다.
KB증권은 DCM(채권자본시장) 부문에서 13년 연속 1위(2023년 말, 블룸버그 기준)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으며, ESG채권 대표주관 영역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번 SLB 발행을 비롯해 글로벌본드, 커버드본드, 외화단기채, 담보부사채 등 발행사들과 함께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고, 앞으로 국내 공공기관의 조달 경로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박정호 KB증권 기업금융1본부장은 “SLB는 ESG채권 중 하나로 조달 자금의 용도가 자유롭고, ESG 경영전략을 시장에 강력하게 공표하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내 공공기관 최초 SLB로 기록된 한국남동발전의 새로운 도전과 준비에 KB증권의 발행 노하우를 접목해 성공적으로 발행을 완료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향후에도 SLB 시장에 대한 발행사와 투자자의 참여를 촉진하고, 국내 ESG채권 시장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