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말 기준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4473억원(3.3%) 증가
‘은행’ 업종에서 절반 넘는 이익 창출로 이자장사 논란 우려
횡령, 부당대출 등에 대한 질타도 이어질 듯
![주요 금융지주사들의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4473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이달 중순부터 진행되는 국정감사에서 '이자장사' 논란이 재점화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시내의 주요 은행 ATM 기기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10/232215_129224_516.jpg)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도 주요 금융지주사들이 우수한 실적을 거둔 가운데 제22대 국회의 첫 국정감사에서 가계대출 관리를 중심으로 ‘이자장사’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의 엄격한 가계대출 관리 주문에 부응해 금융기업들이 연이어 금리인상과 대출요건 강화에 나서면서 사회적 여론이 차갑게 식은 탓이다.
여기에 추가로 횡령, 부당대출 등 좀처럼 근절되지 않은 각종 금융사고도 국정감사에서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 잠정치’(연결 기준)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금융지주 10곳(KB, NH농협, 신한, 우리, 하나, DGB, BNK, JB, 한투, 메리츠)의 연결 당기순이익은 총 14조 55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3조 6083억원)과 비교했을 때 4473억원(3.3%) 증가했으며, 이익(개별 당기순이익 기준) 비중은 ▲은행(54.5%)에 이어 ▲보험(15.3%) ▲금융투자(15.3%) ▲여전사(10.4%) 순인 것으로 집계됐다.
그 결과, 상반기 기준 금융지주 10곳의 연결총자산은 3672조 7000억원으로 지난해 말(3530조 7000억원)보다 약 142조원(4.0%) 불었다.
이날 금융감독원은 “자본비율을 포함한 주요 경영지표는 양호한 수준을 기록했지만, 고정이하여신 증가 등에 따라 자산건전성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해외 대체투자 등 리스크에 대한 지주 차원의 위험관리 강화를 유도하고 손실흡수능력 제고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수년 동안 은행을 비롯한 금융지주사들의 실적은 고금리 기조 아래 고공행진을 이어나가고 있다.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약 4년 6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한국은행의 향후 통화정책 방향은 아직 미지수인 상태다.
국내 가계대출 증가세와 부동산 가격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인데 현재 금융당국은 연일 금융기업들에게 가계대출 관리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최근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주요 금융지주회사 회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가계부채 비율을 낮출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갖고, 목표 관리·달성에 노력을 기울여주길 당부한 바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본격적인 금리인하 시기가 도래하더라도 금융당국 정책에 발맞추려면 국민들이 체감할 정도의 적극적인 대출 금리 인하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에 따라 매년 국정감사 시즌마다 반복되고 있는 ‘이자장사’ 논란이 이번에도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제22대 국회가 출범한 후 처음 열리는 이번 국정감사에서 금융권에 해당하는 정무위원회 국정감사는 오는 10일부터 시작될 전망이다.
첫 국정감사인 만큼 가계대출 관리, 횡령·부당대출 등 금융사고와 관련한 강도 높은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당과 야당의 정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정책을 놓고, 애꿎은 금융기업들에게 불똥이 튈 가능성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정책에 발맞춰 대출 금리를 올리고, 대출 요건을 까다롭게 조정한 점에 대해 여야 간 다른 시각에서 비판을 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와 더불어 이번 국정감사에서 나올 횡령·부당대출 등 금융사고에 대한 질의도 금융권 입장에서는 큰 부담이다.
올해 들어 주요 금융지주사들은 내부통제 시스템 강화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밝혔지만, 횡령·부당대출 사건이 계속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석용 NH농협은행장 등 증인으로 채택된 수장들의 국정감사 참여 여부도 초미의 관심사다.
이전 국정감사 사례를 보면 그동안 금융기업 수장들은 해외출장 등을 이유로 불참하거나, 다른 임원진이 대리 출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