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KAIST 6G연구센터와 6G 후보 주파수 7~15㎓ 및 140~160㎓ 대역 전파 특성 공동 연구
오는 20~22일 ‘대한민국전파산업대전 2024’에서 연구결과 공개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 LG유플러스는 LG전자, KAIST가 6G 연구개발(R&D)를 위해 설립한 LG전자-KAIST 6G연구센터와 함께 차세대 6G 통신 후보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의 투과 및 반사 특성을 측정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6G 통신망의 개발 준비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대표적인 6G 후보 주파수 대역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뒀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이동통신에 필수적인 주파수는 국제적으로 조화로운 사용을 위해 표준화가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국제전기통신연합 세계전파회의(WRC-23)에서는 한국이 제안한 4.4~4.8㎓, 7.125~8.4㎓, 14.8~15.35㎓ 주파수 대역이 6G 후보 주파수로 채택된 바 있다.
또한, 오는 2030년 이후의 추가 주파수 할당을 고려하면서 140~160㎓ 대역 범위를 포함한 100㎓ 이상의 광대역 후보 대상 주파수들이 지정된 바 있다.
LG유플러스와 LG전자-KAIST 6G연구센터는 이들 후보 대역 중에서도 7~15㎓(Upper-mid)와 140~160㎓(Sub-㎔) 대역을 선정해 실험을 진행했다.
이번 측정 연구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신호 흡수판, 주파수 별 최적 안테나 활용과 함께 로봇 팔로 구성된 자동화 측정 시스템을 개발해 적용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6G 표준 기술 개발과 이동통신 셀 설계 전략에 활용할 계획이다. 나아가 실제 환경을 반영한 실험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오는 20~22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대한민국전파산업대전(KRS 2024)에서 소개된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이번 연구는 6G 통신망 주요 주파수에 대한 의미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며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6G 기술개발의 리더십을 이어가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고객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3분기 영업이익 2460억원...전년 동기 比 3.2% 감소
- LG유플러스, '익시오'로 AX 전략 날개 단다..."꼭 필요한 AI 서비스 선보일 것"
- LG U+, 보안 전문가 발굴 위한 ‘시큐리티 해커톤’ 개최
- "나만의 영화·드라마 감상 저장소 탄생"...LG U+, 콘텐츠 리뷰 플랫폼 '윈로우' 출시
- LG유플러스, 품질 강화 기여 네트워크 우수 협력사와 동반성장
- LG전자, ‘이음 5G 기술’ 첫 공개 시연...디지털 트윈서 통합관계
- LG유플러스, 1000억 규모 자사주 소각...AX 컴퍼니 전환 가속화
- LG U+, 하이퍼스케일급 평촌 IDC에 국가 연구 데이터 허브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