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정기여형(DC)·개인형 퇴직연금(IRP) 이탈했지만, 확정급여형(DB) 몰려
DB형, 5대 은행 합산 2556억원이 전입·1092억원 전출로 집계
연말에 연금 납입하는 계절적 요인으로 합산 잔액 1조 6951억원 증가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가나다 순) 등 5대 은행의 퇴직연금 실물 이전을 통한 적립금은 올해 10월 말부터 지난달 28일까지 한 달 사이 954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연합뉴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가나다 순) 등 5대 은행의 퇴직연금 실물 이전을 통한 적립금은 올해 10월 말부터 지난달 28일까지 한 달 사이 954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가입자 손실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상품을 해지하지 않고, 다른 상품으로 갈아타는 퇴직연금 실물 이전 서비스로 주요 시중은행에 1000억원에 가까운 자금이 순유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시중은행의 확정기여형(DC)·개인형 퇴직연금(IRP)에서는 가입자 이탈 현상이 관찰됐지만, 확정급여형(DB)에 가입자가 몰리면서 전체적으로 순유입을 기록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가나다 순) 등 5대 은행의 퇴직연금 실물 이전을 통한 적립금은 올해 10월 말부터 지난달 28일까지 한 달 사이 954억원 증가했다.

해당 기간 동안 4750억원이 다른 금융기관에 전출·이관됐지만, 5704억원을 새로 전입·수관하면서 적립금 규모가 늘었다.

최근 주요 은행들은 약 400조원에 육박하는 퇴직연금 시장에서 고객 유치를 위해 ‘간판 모델’을 앞세운 광고를 공격적으로 선보이면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했다.

퇴직연금 세부 유형별로는 자금 유입·유출 규모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DB형은 5대 은행 합산 2556억원이 전입되고, 1092억원이 전출되면서 1462억원이 순유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시중은행 관계자는 “퇴직금 액수가 정해져 있는 DB형은 오래 다닐 수 있는 대기업 호봉제 직원에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러한 고객들은 금융기관 안정성을 더 중시해 은행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와 반면에 DC형은 1372억원 전입·1478억원 전출로 106억원 순유출을, IRP는 1776억원 전입·2180억원 전출로 404억원 순유출을 기록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IRP에서 순유출이 많았던 이유에 대해 “고객들이 은행에서 이탈해 증권사 쪽으로 움직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DB형과 DC형은 소속 회사와 계약을 체결한 금융기관으로만 실물 이전이 가능하지만, IRP는 IRP를 취급하는 모든 금융기관으로 이전이 가능하다”며 “수익률을 좇아 조금 더 자유롭게 옮길 수 있는 구조”라고 언급했다.

5대 은행의 전체 퇴직연금 적립금 잔액은 한 달 사이 약 1조 7000억원 증가했다.

주요 은행들의 퇴직연금 합산 잔액은 10월 말 179조 1077억원에서 지난달 28일 180조 8028억원으로 1조 6951억원 불었다. DB형, DC형, IRP에서 모두 적립금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 해당 기간 동안 5대 은행이 보유한 퇴직연금 계좌 수는 총 695만2298개에서 700만8180개로 약 5만5000개 증가했다.

퇴직연금 적립금 증감은 실물 이전 외 ▲신규 가입 ▲퇴직금 지급 ▲추가 납입 ▲중도 인출 ▲주가 변동에 따른 펀드 평가손익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연말에 연금을 납입하는 계절적 요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은행들도 연말에 인사평가를 마무리하면서 마케팅을 집중적으로 벌이는 시기”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매년 11~12월은 연간 퇴직연금 적립 중 70% 이상이 몰리는 시기”라며 “실물 이전 서비스가 전체 적립금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았을 수 있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