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인상, 2단계 DSR 시행 등으로 매수세 급감
"계엄령 사태로 부동산 시장 한파 가속화...건설업계 허리띠 더욱 졸라 맬 듯"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탄핵 정국 후폭풍으로 부동산시장의 침체 우려도 커지고 있다.
건설경기 부진이 심화되면서 기업들이 자구책을 마련하기 위해 조직 쇄신에 나선 건설업계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이번 계엄 선포가 건설산업의 장기 침체로 이어지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갑작스런 비상계엄 선포와 규제로 국내 건설 및 부동산 시장은 겨울로 진입했다는 분석이다.
가뜩이나 위축된 매수 심리가 정국 불안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증대가 심리를 더욱 얼어붙게 만들 수 있고, 특히 정부의 공급 정책이 동력을 잃을 위기에 처할 수 있어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주택공급확대와 규제완화를 내세워 부동산 정책을 펼쳐왔지만 이번 비상계엄으로 사회적 혼란은 물론 정책적 신뢰마저 무너져 내리면서 부동산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로 가팔랐던 집값 상승세는 서서히 우하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방의 경우엔 28주 연속 내리막길을 걸었다. 전국의 부동산 시장이 서서히 침체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는 모습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대출 옥죄기로 인해 매수수요가 줄어든 데다가 비상 계엄령에 따른 후폭풍으로 당분간 부동산 시장의 현금흐름이 막힐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곧 건설사의 수익성과도 직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아파트 매매 거래량도 11월 들어 멈춤 상태다. 입지적 장점으로 수요를 견인했던 수도권도 크게 감소했다.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을 살펴보면, 지난 6월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7908건에서 10월 3725건으로 줄더니, 11월엔 2347건 수준으로 크게 감소했다.
경기도 역시 지난 7월 1만5144건에서 지난 11월 5633건으로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지난 9월부터 시행된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과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으로 인해 시장의 매수세가 급격히 줄어들었다”라며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가 더해지면서 시장이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동산 PF, 경제성장률 둔화 등 여러 요인이 얽히며 시장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런 악재 속에서 이번 계엄령 사태는 부동산 시장의 한파를 한층 더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됐다”고 덧붙였다.
문상도 구도 디앤씨 대표도 “계엄령 이후 부동산 거래가 사실상 마비 됐다고 본다”며 “건설 업계도 이 같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허리띠를 더욱 조일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다.
문 대표는 “특히 정부의 공급 확대 정책 등 주요 법안의 국회 처리가 기약을 할 수 없게 돼 동력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며 “물론 국토부가 주택 공급 확대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민간 공급이 크게 위축된 상태에서 이 같은 정국 불안은 결국 공공주택 목표마저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서울, 아파트 대신 ‘빌라’로 수요 이동...미운 오리에서 백조되나
- 대형건설사, 연말 ‘강남’ 등 서울서 ‘분상제‧재건축’ 알짜 단지 분양 ‘피날레’
- 왕숙‧창릉‧교산 눈여겨 볼 3기 신도시...공공성에 기반 분양가 상승폭 적어 ‘관심’
- [분양 캘린더] 경기 평택 ‘분상제’ 아파트 공급 ‘눈길’...견본주택 개관 '0'
- [분양 캘린더] 12월 넷째 주 ‘더샵 퍼스트월드’ 등 올해 마지막 총 2568가구 공급
- 내년 공급 물량 '저울질'하는 건설업계, 1월 전국 7848가구 일반 분양...전달 대비 61% ↓
- [분양 캘린더] 12월 다섯째 주, 전국 8곳 청약...내년 첫 분양 ‘지방 집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