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 속 당국 대출금리 억제로 예대마진 급증…4대지주 연간 순익 17조 전망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 예대금리차 확대로 4대 금융지주의 4분기 실적이 역대급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연간으로도 사상최대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탄핵정국으로 내수가 꽁꽁 얼어붙고 있지만 금융지주들은 ‘나홀로 호황’을 이어가는 모양새다. 

1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4분기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총 2조430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4분기의 1조3421억원보다 80% 넘게 증가한 수치다. 

회사별로 보면 KB금융지주가 지난해 4분기 2114억원에서 올해 4분기 6768억원으로 순이익이 무려 220.1%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지주는 5761억원에서 7343억원으로 27.5%, 하나금융지주는 4597억원에서 6212억원으로 35.1% 각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우리금융지주의 올해 4분기 순이익은 3983억원으로 상대적인 규모는 작지만, 전년 동기의 950억원과 비교하면 319.4%나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낼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지주들의 이 같은 호황은 주력 계열사인 시중은행들이 최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방침에 가산금리를 높게 유지하면서 여·수신 금리 격차가 확대된 덕분으로 분석된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예대금리차는 지난 7월 0.43%포인트(p)에서 10월 1.04%p로 석 달 연속 늘어 배 이상 껑충 뛰었다.

여기에 지난해 말 태영건설 워크아웃 전후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관련 대손충당금을 대규모로 적립한 기저효과가 이번에 나타난 측면도 있다는 게 회사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연간으로도 역대 최대 실적이 예상된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의 올해 연간 순이익 전망치는 총 16조9245억원으로, 지난해(15조1367억원)보다 1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들 회사의 순이익 총액이 17조원에 다가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지난 2022년 고금리 상황에서 거둔 사상 최대 실적(15조6503억원)을 가볍게 뛰어넘는 수치다.

다만 금융지주사들은 이번 호실적이 반갑지만은 않은 눈치다.

올해 들어 기준금리 인하가 계속됐지만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금융당국의 대출 금리 관리가 강화되면서 일반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진 상태다.

이에 내년 초 2024년도 금융지주사들의 실적이 발표될 경우 또 다시 "서민상대 이자장사로 배를 불렸다"는 비판이 나올까 우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 금융권 관계자는 "대출금리 억제가 금융지주사들의 의지가 아니었는데, 결국 사회적 질타를 받는 건 또 우리가 될 것"이라며 "금융당국의 적절한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