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 등 5대 은행 희망퇴직 절차 밟아
신한은행, 기존 40대 이상에서 30대 후반(1986년생)으로 대상자 폭 넓혀
인사발령에선 40대(1980년생) 임원 등장…점포 감소에 대한 소비자 불만도

은행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을 시작으로 신한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이 이달 초까지 차례로 희망퇴직 절차를 진행했다. 시중은행 대출 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은행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을 시작으로 신한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이 이달 초까지 차례로 희망퇴직 절차를 진행했다. 시중은행 대출 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주요 은행들의 희망퇴직, 승진 등 인력구조 순환 연령대가 해를 거듭할수록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

계좌개설, 예·적금 상품 가입, 대출 상품 비교 등 각종 은행 업무가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과거와 다른 인사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최근 수년 동안 높은 실적을 거둬온 은행권이 금융 소비자 편의성보다 인력 감축을 통한 수익성 강화에만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7일 은행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을 시작으로 신한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이 이달 초까지 차례로 희망퇴직 절차를 진행했다.

지난해 11월 가장 먼저 희망퇴직을 마무리한 NH농협은행은 391명이 떠났는데 이는 1년 전(372명)보다 늘어난 규모다.

과거 40대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했던 신한은행은 이번에 30대 후반(1986년생)까지 대상자를 넓혀 접수를 받은 결과, 541명이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아직 희망퇴직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은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도 수백명에 이르는 직원들이 짐을 쌀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희망퇴직으로 KB국민은행은 674명, 하나은행은 325명, 우리은행은 362명이 직장을 그만둔 바 있다.

현재 은행권에서는 올해 5대 은행의 합계 희망퇴직자수가 1년 전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자장사’ 논란으로 희망퇴직 조건은 크게 변동이 없지만, 대상자 범위 폭이 넓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경기 침체 장기화와 함께 금리 인하기로 접어들면서 올해 말부터 희망퇴직 조건이 오히려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점도 희망퇴직자수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 관계자는 “고금리 기조 아래 최근 몇 년 동안 주요 은행들이 높은 수익을 거둬왔지만, 올해부터 수익 감소를 예상하는 시각이 많은 상황”이라며 “이왕이라면 더 좋은 조건에서 희망퇴직 절차를 밟으려는 은행원들이 꽤 있다”고 언급했다.

특이한 점은 희망퇴직자 연령대도 ‘젊어지고’ 있지만, 승진 연령대도 ‘젋어지고’ 있다는 부분이다.

대표적인 예로 올해 KB국민은행은 새로운 경영진 21명 중 20명(95.2%)을 1970년대생으로 채웠고, 1980년생 신규 임원도 발탁하는 등 파격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신한은행도 1970년 이후 출생 임원을 6명 발탁하면서 세대교체에 속도를 냈고, 우리은행과 하나은행도 ‘조직 슬림화’와 함께 1970·80년대생을 승진 대상으로 대거 포함시켰다.

은행권 관계자는 “현재 주요 은행들은 젊은 세대교체를 통해 내부통제 강화와 혁신적인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겠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희망퇴직의 폭을 넓히고, 빠른 승진 인사발령으로 인력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다”며 “오프라인 지점이 매년 감소하는 추세도 이러한 부분에 영향을 끼쳤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5대 은행의 국내 점포는 지난 2020년 9월 말  4652곳에서 2024년 9월 말 4018곳으로 600곳이 줄어드는 등 매년 감소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금융지주사들이 점포폐쇄로 인한 은행원 감축으로 수익성 개선을 추구하기 이전에 고객들의 오프라인 금융 서비스 이용 편의성을 높이는데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은행별로 특화점포를 통해 비대면·디지털 금융 시스템의 단점을 최대한 보완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대출고객·금융취약계층·도서산간 지역 주민 등의 불편은 여전하다는 것이다.

지난달 이복현 금육감독원장은 “금융업계가 소비자의 금융 서비스 접근 권리를 보장한다는 책무를 충분히 고민했는지 돌아봐야 한다”며 점포폐쇄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