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전망치(0.5%)보다 0.4%포인트 낮은 수준
4분기 뚜렷한 반등 실패로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 2.0% 기록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부진과 함께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정치 불안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가 2% 성장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분기의 경우 경제 성장률 0.1%을 기록하면서 침체된 한국 경제 상황이 그대로 드러났다.

23일 한국은행은 2024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1%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분기 성장률은 지난 2023년 1분기부터 2024년 1분기까지 다섯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기조를 유지했지만, 2분기 -0.2%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당시 한국은행과 정부는 1분기 ‘깜짝 성장’(1.3%)의 기저효과 탓인 것으로 진단했지만, 3분기과 4분기 모두 0.1% 성장에 머물렀다. 

이 중 4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1월 한국은행이 내놓은 전망치(0.5%)보다 0.4%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비상계엄 등에 따른 소비·건설 경기 위축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지만, 무려 0.4%포인트에 이르는 예상치와의 격차가 왜 발생했는지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해 4분기 뚜렷한 반등이 나오지 않으면서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은 2.0%에 그쳤다.

이는 2023년 성장률(1.4%)보다는 높은 수치지만, 당초 지난해 11월 한국은행이 예상한 2.2%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4분기 기준 부문별 성장률을 보면 민간소비는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의료·교육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2% 성장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 위주로 0.5% 늘었고, 설비투자 역시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기계류의 호조로 1.6% 증가했다.

이와 반면에 건설투자는 건물·토목 동반 부진으로 3.2% 하락했다.

수출은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품목을 중심으로 0.3% 성장했고, 수입은 자동차·원유 위주로 0.1% 감소했다.

이번 조사에서 4분기 성장률에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은 ‘설비투자’(+0.2%포인트)인 것으로 집계됐다. 

▲민간소비(+0.1%포인트) ▲정부소비(+0.1%포인트) ▲순수출(수출-수입·+0.1%포인트) 등도 성장률을 끌어올렸다.

다만, 건설투자(-0.5%포인트)는 성장률 하락에 영향을 끼쳤다.

업종별로는 제조업(+0.1%)과 서비스업(+0.3%)이 성장한 반면에 농림어업(-3.9%)과 전기·가스·수도업(-2.9%), 건설업(-3.5%)은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0.6%로 실질 GDP 성장률(0.1%)을 웃돈 것으로 분석됐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