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전년 대비 6.5% 감소한 163만5000대 기록
KAMA, 2024년 자동차 내수시장분석 보고서 발표
![디 올 뉴 팰리세이드 외장 [사진=현대자동차]](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8577_136773_5523.jpg)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지난해 신차 시장은 가계부채 증가, 신차 구매지원 종료 등 소비심리의 위축과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판매량이 전년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 침체로 자금에 부담을 크게 느끼는 자영업자 등이 신차 구매를 주저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자동차 내수시장분석’ 보고서를 2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자동차 신차 판매대수는 163만5000대로 전년 대비 6.5% 감소했으며, 국산차는 7.3% 감소한 134만6000대, 수입차는 2.5% 감소한 28만8000대로 집계됐다.
신차 시장은 코로나 이후 감소세인 가운데, 가계부채 증가, 신차 구매지원 종료 등 소비심리의 위축과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2023년 하반기부터 감소세가 심화되며 지난해 매분기 최근 평균 판매대수를 하회했다는 것이 협회의 설명이다.
중고차 시장도 성장세가 최근 정체됐으나, 지난해엔 0.6% 감소한 242만8000대로 전년 수준을 유지하며 신차 대비 비교적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우선 지난해 신차 판매의 주요 특징으로는, 자영업자와 청년 및 장년층 등 경기에 민감한 수요층 중심으로 자금 부담이 큰 신차 수요가 더 크게 위축됐다는 점이다.
또 화물차 등 상용차 판매가 전년 대비 21.4% 감소해 승용차보다(-3.9%) 부진했다.
이와 관련해 KAMA는 “경기부진에 따른 구매 심리의 위축과 인기 모델의 단종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특히, 자영업자가 애용하는 1톤 화물차(-26.3%)는 친환경 모델 출시에도 불구하고 경유 모델 대비 높은 가격, 충전 불편 등으로 경유 모델 수요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일부는 중고차 구매로 전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신차 구매는 20대와 장년층(50대, 60대)에서 크게 감소한 반면, 중고차는 60대 이상에서만 증가해 경기 변화에 민감한 수요층에서 신차 판매가 더 크게 감소했다.
장년층의 평균소비성향 회복 지연, 견조한 20대의 중고차 수요 등 소비여력의 축소와 신차 가격 상승세에 따른 가격 부담 등으로 청년과 장년층의 중고차 선호도가 높아졌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내연기관차, 전기차 등 전반적 판매 감소 속에 하이브리드만 고성장세를 지속한 점도 눈여겨 볼만 하다.
풀하이브리드(마일드HEV 제외)는 국산 브랜드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하이브리드의 인기와 일본 브랜드의 판매 회복으로 두 자릿수의 증가세(+29.2%)를 이어가며 38만9000대가 판매됐다.
전기차(BEV)는 승용차 증가에도 불구하고 1톤 화물차 판매가 전년 대비 절반 이상(-53.2%) 감소해 2년 연속 전기차 판매 감소의 원인이 됐다.
전기 승용차는 신차효과 등으로 12만2000대가 판매돼, 전년비 5.9% 증가했으나, 평균 판매단가는 보급형 모델 증가로 17.2% 하락했다.
승용차 전반으로는 수요가 고급화되나, 전기차에서는 소형급 신차의 인기로 3000-4000만원대 판매가 전년대비 가장 크게 늘어(+178.8%), 가격경쟁력 높은 모델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훈 KAMA 회장은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급격한 통상환경의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소비심리 둔화와 전기차 가격경쟁 등으로 국산차의 내수와 수출 모두 어느 때보다 어려운 여건에 직면해 있다”라며 “개별소비세 한시 감면의 연내 유지, 노후차 교체 시 개별소비세 감면의 조속 시행 등 적극적 수요 촉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중국 브랜드의 진출 확대까지 더해져 더욱 치열해진 전기차 시장의 국내기업의 제조 경쟁력 제고를 위한 R&D 세액공제 확대와 대당 구매보조금 한시적 확대, 충전요금 할인 부활 등 소비자 인센티브 확대가 필요하다”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주력구매층의 고령화와 청년층의 신차시장 참여도의 지속 감소 등 구조적 변화에 맞는 수요촉진 정책도 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국내 자동차 업계, 설맞이 무상점검행사 실시
- [빅데이터로 읽는 이슈] 내수 침체에도 효자노릇 톡톡 ‘디 올 뉴 팰리세이드, 그랑 콜레오스’...소비자 “역대급” 호평
- 내년 트럼프 2기 출범에도 반도체·조선 '대체로 맑음'…자동차·배터리 '흐림'
- KAMA, 내년 자동차산업 내수 1.3% 늘고 수출 –3.1% 감소
- 현대차, 지난해 영업익 14조2396억원...전년 比 5.9% 감소, 매출은 ‘역대 최대’
- 현대자동차, 전동화 대형 SUV ‘아이오닉 9’ 사전 계약 개시...6715만원부터
- 서울모빌리티쇼, 30주년 기념 ‘퓨처모빌리티어워드’ 4월 10일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