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8.2%로 전년比 1%P 높아져, 여성은 무려 43.2%

탑골공원 인근에서 한 노인이 폐지 손수레 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탑골공원 인근에서 한 노인이 폐지 손수레 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빈곤율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3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의 e-나라지표 자료에 따르면 자유롭게 소비하거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하는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노인빈곤율)’이 38.2%로 전년 보다 0.1%포인트 뒷걸음친 것으로 집계됐다. 

그 동안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점차 개선되는 추세였다. 2013년 46.3%, 2014년 44.5%, 2015년 43.2%, 2016년 43.6%, 2017년 42.3%, 2018년 42.0%, 2019년 41.4% 등으로 40%대 중반에서 초반으로 꾸준히 낮아지다가 2020년 38.9%로 처음 30%대로 떨어졌다. 2021년에는 37.6%로 2020년보다 1.3%포인트 내려가며 하락세를 이어갔지만 2022년 38.1%에 이어 2023년에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노인빈곤율은 우리나라의 전체 상대적 빈곤율 평균(14.9%)이나 근로연령인구(18∼65세)의 상대적 빈곤율 9.8% 보다 월등히 높았다. 특히 여성 노인이 43.2%로 남성(31.8%) 보다 훨씬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OECD의 ‘한눈에 보는 연금 2023(Pension at a glance 2023)’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OECD 가입국 중 노인의 소득 빈곤율이 40%대에 달할 정도로 높은 국가는 한국밖에 없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