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결합시 고품질 XR 웨어러블 기기 개발 가능
![문석일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박사가 포스텍과 산학협력을 통해 개발한 '무색수차 메타렌즈' 연구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사진=삼성전자]](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2/240266_138728_2649.jpg)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삼성전자와 포스텍이 최근 개발에 성공한 '무색수차 메타렌즈' 논문이 세계적 학술지에 실렸다.
25일 삼성전자는 포스텍과 산학협력을 통해 진행한 무색수차 메타렌즈 연구 논문이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메타렌즈는 빛의 회절을 제어할 수 있는 나노 크기의 구조체로 구성된 평면 렌즈다. 디스플레이·카메라 등 광학 시스템 분야에서 차세대 소자로 주목받으며 10여년 전부터 업계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돼 왔다.
기존 볼록 광학 렌즈 대비 크기와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큰 색수차로 이미지가 심각하게 왜곡되는 기술적 한계가 있어 실제 제품 개발로 이어지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삼성전자와 포스텍 연구팀은 최근 색수차가 없는 무색수차 메타렌즈 개발을 완료하고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결합할 경우 다양한 광학 수차의 보완이 가능하다는 것도 증명했다.
향후 무색수차 메타렌즈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결합하면 콤팩트하면서도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XR(확장현실) 웨어러블 기기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 무색수차 메타렌즈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결합한 장치는 XR기기뿐만 아니라 일반 디스플레이, 카메라, 센서 등 다양한 광학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부피 저감에도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이번 프로젝트는 문석일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박사와 노준석 포스텍 교수가 주도했다. 포스텍 최민석, 김주훈, 신길수 연구원도 공동 1저자로 참여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 산학협력을 통해 다양한 미래 광학 시스템 분야 개발과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확보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미래를 선도할 혁신기술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삼성전자, AI 스마트 모듈러 건축 시장 확대...유창이앤씨와 '맞손'
- 삼성전자, 전경훈 사장 포함 5명 美 IEEE 펠로우 선정...“5G‧AI 혁신 선도”
- 삼성전자,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개최...AI‧무선통신 융합 기술 미래 논의
- 삼성전자, '삼성 AI 포럼 2024'서 글로벌 AI 석학과 인공지능 미래 논의
- 삼성전자, AI로봇 '볼리와 패키지 '보자기'로 iF 디자인어워드 금상 수상
-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프로' 기아 PBV 탑재...매장과 모빌리티 연결한다
- AI 기술 발전에 'XR·휴머노이드 로봇' 인기...삼성전자·현대차 기술력 '주목'
- 삼성전자, A비스포크 '키친핏 맥스' 냉장고 신제품 19종 출시
- 삼성전자, 냉매 없앤 친환경 냉장고 출시 예고...펠티어 냉각기술 '인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