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보다 18억달러↓…국민연금 외환스와프 규모 확대 영향
대만, 사우디아라비아, 홍콩에 이어 전 세계 9위 기록

한국은행이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092억1000만달러로 1월 말보다 18억달러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 대응센터 직원이 달러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092억1000만달러로 1월 말보다 18억달러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 대응센터 직원이 달러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지난달 4100억달러선이 무너진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092억1000만달러로 1월 말보다 18억달러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체 외환보유액 규모는 지난 2020년 5월 말(4073억달러) 이후 4년 9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이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말 4156억달러로 12억달러 증가했다가 올해 1월 말 4110억달러로 46억달러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외환보유액이 4100억달러 밑으로 내려가는 정도는 아니다”라고 언급했지만, 불과 약 두 달 만에 4100억달러선이 붕괴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미국 달러 약세로 인한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증가 등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규모 확대 등으로 외환보유액이 줄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후 환율이 급등하자 외환당국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한도를 기존 500억달러에서 650억달러로 늘렸다.

해당 외환스와프는 당국이 외환보유액에서 달러를 공급하고, 국민연금이 이를 이용해 해외 자산을 매입한 뒤 나중에 달러를 갚는 방식이기 때문에 외환보유액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지난달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가 약 0.5% 낮아지는 등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환율 안정을 위한 시장 개입 수요는 전월보다 크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보유액 구성을 자산별로 구분해보면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이 3573억8000만달러로 46억4000만달러 줄면서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다.

예치금은 280억1000만달러를 기록하면서 27억1000만달러 증가했고,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특별인출권(SDR)은 148억4000만달러로 1억3000만달러 늘어났다.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는 금의 경우 47억9000만달러였다. 한국은행은 지난 2013년 20t의 금을 추가 매입한 후 현재까지 총량을 104.4t으로 유지하고 있다.

1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4110억달러)는 전 세계 9위 수준이었다.

중국이 3조2090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406억달러)과 스위스(9173억달러)도 상위권에 포진했다.

그 뒤를 이어 인도(6306억달러), 러시아(6208억달러), 대만(5776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4343억달러), 홍콩(4215억달러)이었고, 독일은 한국에 이어 4003억달러로 10위를 기록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