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합작 'HLI그린파워' 방문 "미래 모빌리티 심장될 것"
LG전자 찌비뚱 생산·R&D법인도 찾아 임직원 격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왼쪽에서 네번째)가 2월 인도 벵갈루루 SW연구소에서 연구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LG]
구광모 ㈜LG그룹 회장이(왼쪽에서 네번째)가 2월 인도 벵갈루루 SW연구소에서 연구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LG]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구광모 LG 회장이 인도네시아 배터리 사업 현장을 찾아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사업장으로 도약을 강조했다. 

9일 LG에 따르면 구 회장은 이달 초 LG에너지솔루션(LG엔솔)과 현대자동차가 합작해 설립한 HLI그린파워를 방문해 배터리셀 생산라인을 살펴봤다.

HLI그린파워는 LG엔솔과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 카라왕 신산업단지에 설립한 배터리셀 공장이다. 총 32만㎡ 부지에서 전기차 15만대 가량에 탑재할 수 있는 연간 1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셀을 생산할 수 있다. 지난해 4월부터 본격적으로 배터리셀 양산을 시작했는데 4개월만에 수율이 96%를 넘었다. 

구 회장은 이번 방문을 기념해 HLI그린파워에서 생산된 배터리셀에 "미래 모빌리티의 심장이 되길 기원합니다"라고 적었다. 또 현장 임직원들에게 경쟁사 대비 LG만의 차별화된 배터리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도록 집중해 줄 것도 당부했다.

이번 구 회장의 HLI그린파워 현장 방문은 배터리 사업 육성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는 행보였다는 평가다.

앞서 구 회장은 올 3월 여의도 트윈타워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배터리 산업을 미래 국가 핵심 산업이자 그룹의 주력 사업으로 반드시 성장시킬 것"이라며 배터리 사업 육성의지를 밝혔다.

지난해에는 미국 테네시주에 위치한 GM과의 합작공장 얼티엄셀즈 2공장을 방문해 생산라인을 점검하고 구성원들을 격려하기도 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배터리 핵심 광물인 니켈 매장량과 채굴량 세계 1위로 동남아 지역 전기차의 전략적 거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HLI그린파워 방문에 이어 구 회장은 LG전자 찌비뚱 생산·R&D법인과 현지 가전 유통매장도 찾았다.

LG전자는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 서부에 위치한 찌비뚱에서 TV, 모니터, 사이니지 등을, 자카르타 북서쪽 땅그랑에서 냉장고, 에어컨 등을 생산하고 있다.

지난 2023년에는 찌비뚱 공장 인근에 R&D법인을 신설해 R&D, 생산, 판매로 이어지는 현지 완결형 체제를 구축하고 인도네시아 및 동남아 시장 공략의 전초기지로 활용하고 있다.

구 회장은 자카르타에 위치한 LG전자 판매법인에서 현지 경영진 및 구성원들과 만났으며 현지 유통매장 일렉트릭 시티도 방문해 가전 판매현황을 살폈다.

특히 동남아 가전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 업체들의 시장 공략 현황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 회장은 현지 임직원들에게 "현재의 격화되고 있는 경쟁 상황에 대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5년 뒤에는 어떤 준비를 해야 살아남을 수 있을지 어떤 선택과 집중을 해야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 전략 마련에 힘써 달라"고 강조했다.

LG 관계자는 "구 회장이 올 초 인도에 이어 연달아 인도네시아를 찾은 것은 소비나 생산은 물론 연구개발에서도 잠재력이 크고 글로벌 지경학적 변화 속에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미래 잠재시장에서 성장의 기회를 찾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