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규제 적용 등을 이유로 지난 27일까지 대출신청 빗발쳐
시행 이후엔 ‘한산’…비대면대출·규정 해석 관련 문의는 이어져
![정부가 가계대출 관리·강화를 목표로 역대급 대출 규제를 내놓은 가운데 규제 시행 사흘째인 30일 은행 창구에서는 별다른 혼선이 빚어지지 않고 있다. 서울 시내 부동산 중개업소에 게시된 대출 등 상담 안내.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6/247574_147225_4628.jpg)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정부가 가계대출 관리·강화를 위해 수도권 주택 구입용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 강력한 대출 규제에 나선 가운데 은행 창구는 별다른 혼란 없이 한산한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미 상당수 대출자들이 7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실행에 앞서 대출을 미리 받아놓으면서 큰 혼선은 없는 상태다.
이번 대출 규제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을 받는 현상) 현상도 일시적으로 잦아드는 것을 보인다.
은행권 관계자는 “정부의 대출 규제 시행 전에는 대출신청·문의가 붐볐으나, 시행 후 사흘째로 접어들면서 평소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주 금융위원회와 관계기관은 긴급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통해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주요 내용은 ▲전 금융권 가계대출 총량목표 하반기 50% 감축, 정책대출 연간 공급계획 25% 감축 ▲수도권 주담대 총액 6억원·생활안정자금 목적 주담대 1억원으로 한도 제한 ▲수도권 대출만기 30년으로 제한 ▲수도권 LTV 강화 등으로 압축된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금융당국은 발표 내용이 시행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수요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즉시 시행 가능한 조치는 곧바로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가계대출 관리·강화 정책 시행에 따라 은행권 가계대출 성장폭은 이전보다 축소될 전망”이라도 덧붙였다.
역대급으로 평가받는 이번 대출 규제 정책으로 인해 부동산 거래 실수요자들이 거래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왔지만, 현장의 분위기는 다르다.
정부가 가계대출 관리 방안을 발표하기에 앞서 이미 7월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 적용이 예고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6월 말 전 주택매매 계약·대출 신청을 마친 수요자들이 상당수이고, 향후 아파트 등 주택 구매를 계획했던 사람들도 집값 추세를 일단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주요 은행들이 비대면 대출을 중단하면서 대출 재개 시점과 새로운 규제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전화 문의는 이어지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이번 규제에 발맞춰 전산 시스템을 개발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비대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접수를 멈췄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은행별 상황과 대출 종류에 따라 당분간 비대면 신청이 원활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기존 고객 유출 방지·신규 고객 유치 등을 위해 비대면 대출 재개 시점과 관련한 ‘눈치싸움’을 벌일 가능성도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