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SK텔레콤, KT, 롯데카드 등 주요 기업에서 고객정보 연이어 유출
피해금 전액 보상 등 후속 대책 내놨지만, “당연한 것 아니냐” 비판 거세져
정부, 범부처 차원 근본 대책 마련 착수…“뒤늦게 신고할 경우 과태료 부과”

SK텔레콤, KT, 롯데카드, SGI서울보증, 예스24 등 국내 주요 기업들에서 대규모 해킹 사고가 발생하면서 고객들이 불안감에 떨고 있는 가상의 이미지. 
SK텔레콤, KT, 롯데카드, SGI서울보증, 예스24 등 국내 주요 기업들에서 대규모 해킹 사고가 발생하면서 고객들이 불안감에 떨고 있는 가상의 이미지. [사진=DALL·E]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IT강국으로 불리던 한국의 기업들이 해커들의 공격 대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국내 최대 통신사부터 수백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카드사, 도서·티켓 온라인몰까지 대규모 고객정보 유출 사이버 침해 사고가 발생하면서 여론이 들끓고 있다.

SK텔레콤, KT, 예스24, SGI서울보증, 롯데카드 등 해킹 사고가 발생한 기업들이 피해금 전액 보상을 비롯해 보안 체계 강화·고객 중심의 체질 개선 등 사후대책을 발표했지만, 고객들의 분노는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관련 내용을 다룬 SBS뉴스의 ‘297만명 유출 롯데카드…재발급·비밀번호 변경 지원’ 영상을 보면 “재발급 해주면 어디론가 사라진 개인정보가 돌아오는가”, “SKT에 털리고, 롯데카드에 털리고, 이제 겁나서 스마트폰 사용도 못하겠다”는 댓글이 많은 공감을 얻었다.

“재발급은 그냥 평소에도 고객이 맘대로 신청 가능한건데 이게 ‘지원’이라고 생색 낼 일인가?”, “보안 수준이 이 정도 밖에 되지 않으면 카드사업을 안하는게 맞는 것 같다”는 비판이 나왔다.

MBC뉴스가 다룬 ‘롯데카드, 297만명 회원 정보 유출에 전액 보상 방침’ 영상에도 수많은 댓글이 달렸다. 이 영상에는 “이번에 털린 정보 수준을 보니까 가상의 나를 만들어도 될 것 같다”, “해킹범이 나보다 나에 대해 더 잘 알 가능성이 있다”는 비꼬는 뉘앙스의 댓글이 눈에 띄였다.

심지어 롯데카드가 내놓은 대책에 대해 오히려 강한 불만을 토로하는 글도 있었다. 롯데카드는 ▲피해금 전액 보상 ▲정보 유출 고객 전원에게 연말까지 무이자 10개월 할부 서비스 제공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크레딧케어) 무료 제공 등을 약속했다.

이에 대해 한 누리꾼은 “너무 당연한 말을 뭔가 해준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다”며 “롯데카드를 쓴 사람한테 달랑 ‘연회비 면제 해줄께’ 하면 좋아할 것 같은가? 올해 말까지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공짜? 무이자 10개월? 무이자로 살 제품도 없다”고 꼬집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왼쪽 다섯번째) 등 관계자들이 최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 사고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사태에 대해 대고객 사과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왼쪽 다섯번째) 등 관계자들이 최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 사고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사태에 대해 대고객 사과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롯데카드뿐 아니라 SK텔레콤, KT, 예스24, SGI서울보증 등 주요 기업들의 해킹 사고 발생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대한민국이 해커들의 놀이터가 돼버렸다”, “IT강국이면 뭘 하는가? 보안과 의식이 ‘개판’이다”, “한심하다. 도대체 보안 관리를 어떻게 하길래 하루가 멀다하고 해킹사고가 발생하는가?”와 같은 원색적인 비난 댓글까지 포착됐다.

한국경제가 단독으로 보도한 ‘1300억원 과징금 부담…SKT, 억울함 호소하는 보고서 제출’ 기사에도 누리꾼들은 분노했다. “SKT는 아직도 정신을 못 차렸다”, “염치가 없는건지, 눈치가 없는건지 이해가 안 간다”는 댓글이 많은 공감을 얻었다.

KT 해킹 사고에 대해서는 중국 범죄자들을 비난하는 의견이 다수를 이뤘다. KT 휴대전화 소액결제 해킹 사건의 주요 피의자 2명이 중국 국적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누리꾼들은 “중국인이든 중국동포든 커다란 본인들의 나라를 냅두고, 왜 남의 나라에 와서 시기들을 치는지 이해가 안 간다”, “이번 해킹 사건을 일으킨 몸통(범죄 주도자)을 잡아서 전 재산을 몰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각종 해킹 사고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과 걱정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해당 기업들의 각종 법규 위반 내용이 확인될 경우 ‘일벌백계’ 차원에서 엄정한 제재를 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킹 대응을 위한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을 마친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과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왼쪽 네번째)이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킹 대응을 위한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을 마친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과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왼쪽 네번째)이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금융위원회는 통신사, 금융사 사이버 침해사고와 관련한 합동 브리핑을 열고, 조속한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했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기업이 고의적으로 침해 사실을 지연 신고하거나, 미신고할 경우 과태료 등 처분을 강화할 것”이라며 “기업의 신고가 없어도 정황을 확보한 경우 정부가 철저히 조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도 “금융회사 CEO의 책임 아래 전산시스템·정보보호 체계 전반을 긴급 점검하고, 금융감독원·금융보안원 등을 통해 점검결과를 면밀히 지도·감독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보안 사고가 발생 할 경우 사회적 파장에 상응하는 엄정한 결과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징벌적 과징금 도입 등 방안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나날이 고도화되는 해킹 수법으로부터 고객정보를 안전히 지키지 못한다면 주요 기업들이 앞 다퉈 외쳐온 고객 중심 경영은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할 뿐이다.

연이은 해킹 사고로 한국 기업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잃은 고객들이 안심하고 한국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들려면 기본적인 사이버 보안 문제부터 임직원들의 정보 유출 위험에 대한 인식까지 철저히 점검해봐야 할 시점이다.

뉴스퀘스트는 '브랜드&평판연구소'와 함께 빅데이터 기반의 '키워드 평가 측정' 프로그램을 활용, 유튜브 영상 및 뉴스에 달린 댓글 여론을 분석합니다.

'브랜드&평판연구소'는 CEO와 정치인·연예인 등 사람을 비롯 기업과 도시·지자체·국가의 브랜드평판에 대한 조사, 연구 및 산학협동을 통해 브랜드평판 구축 및 관리전략을 도출하는 전문 컨설팅 기관입니다.

'키워드 평가 측정'에는 유튜브와 네이버가 각각 제공하는 '데이터 API 버전 3'과 '서치 API'를 활용해 각각 최대 200~500개에 달하는 영상 및 뉴스에 달린 댓글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댓글 데이터에 대한 정밀 분석은 오픈 AI의 GPT-4omni 모델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수집된 각 댓글의 전반적인 긍·부정 평가와 의견을 세밀하게 파악합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