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기능·인력·업무 개편 추진
해킹 사고, 불완전판매와 같은 각종 금융사고에 대한 감독 강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소비자 불편 최소화에도 집중

이억원 금융위원장(사진 오른쪽)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장 접견실에서 긴급 회동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이억원 금융위원장(사진 오른쪽)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장 접견실에서 긴급 회동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과 이찬진 금융감독원 원장이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 강화를 비롯한 세 가지 중점 과제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29일 이억원 금융위원장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당국 조직개편 철회 후 첫 긴급 회동을 가졌다.

이번 회동에서 금융당국 수장들은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겸허히 수용한다”며 “금융 소비자 보호 기능의 공공성·투명성 강화를 위해 뼈를 깎는 자성의 각오로 금융행정과 감독 전반을 쇄신하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 강화 ▲현장·소비자 중심의 업무 방식 전환 ▲행정·감독 과정의 공공성과 투명성 제고 등 세 가지 중점 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소비자 보호 강화를 목표로 조직·기능·인력·업무 개편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해킹 사고, 불완전판매 등과 같은 각종 사건·사고를 엄정히 감독하면서 소비자 보호 국정과제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기관 운영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개선하고, 금융행정과 감독 전 과정을 재점검해 법과 원칙에 기반한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는 게 양측의 설명이다.

이날 이억원 위원장과 이찬진 원장은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원팀이 돼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금융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도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이 위원장은 긴급 간부 회의를 통해 “금융 사고와 금융 범죄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며 “금융 행정의 공공성·투명성과 현장 소통이 부족한 문제, 민생과 실물경제 지원이 충분하지 못했던 문제 등을 근본적으로 해소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소비자 보호 기능 강화와 위원회 심의 기능의 내실화를 위한 조직과 업무의 재편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