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일본어·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 지원
외국인 쇼핑객 많은 롯데백화점 잠실점에 설치
![에비뉴엘 잠실점 1층과 롯데월드몰 지하 1층 안내데스크에 설치된 ‘트랜스 토커’를 외국인 모델이 활용하고 있는 모습. [SK텔레콤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4/222077_116552_1823.jpg)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쇼핑을 하거나 대중교통 이용, 호텔, 관공서, 관광 명소, 음식점 등을 찾는 데 보다 수월해질 전망이다.
SK텔레콤은 13개 언어를 지원하는 인공지능(AI) 동시통역 솔루션 ‘트랜스 토커 (TransTalker)’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트랜스 토커’가 지원하는 언어는 한국어를 비롯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스페인어 등 총 13개다. SKT는 고객 반응이나 요구사항 등을 반영해 지원 언어를 추가할 계획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투명 스크린 앞에 설치된 마이크에 본인의 언어로 질문하면 한국어로 번역된 문장이 안내데스크 담당자 스크린에 표시된다.
이후 담당자가 한국어로 답변하면 이 내용이 실시간으로 관광객 언어로 변환돼 모니터에 나타나는 방식이다.
‘트랜스 토커’는 투명한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 앞 소리만 전달해 주위 소음을 최대한 제거하는 ‘지향성 마이크’, PC 등으로 구성된다.
AI 기반 동시통역을 위해 K-AI Alliance 멤버인 AI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와 함께 음성 인식(STT, Speech to text), 자연어 처리(NPU), 번역 엔진, LLM(거대언어모델) 등의 기능을 적용했다.
롯데백화점은 외국인들의 쇼핑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SKT와 솔루션 도입 계약을 체결하고, 에비뉴엘 잠실점 1층과 롯데월드몰 지하 1층 안내데스크에 ‘트랜스 토커’를 설치했다.
SKT는 롯데백화점을 시작으로 동시통역 서비스가 필요한 다양한 기업 고객을 확보할 계획이다.
일반 기업에서도 ‘트랜스 토커’를 활용할 수 있다. 가령 해외 지사를 둔 기업의 경우 업무용 컴퓨터에 솔루션과 마이크만 설치하면, 원격회의솔루션과 연계해 컴퓨터 화면으로 동시통역을 활용하면서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SKT는 현재 클라우드 기반으로 ‘트랜스 토커’ 솔루션을 제공한다. 향후 보안을 중시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도입할 수 있도록 자체 정보기술(IT) 인프라 기반 구축형 모델을 출시하고, 온디바이스형 AI 통역 솔루션도 개발할 예정이다.
신용식 SKT Enterprise AI CO 담당(부사장)은 “다양한 언어 지원과 실시간 통역이 ‘트랜스 토커’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이라며 “소규모 사업자들도 낮은 비용에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운영과 관리를 대행하는 서비스를 향후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SKT ‘AI 미디어 스튜디오’, WIS ‘임팩테크 대상’서 과기정통부장관상 수상
- SKT, AI 인재 육성 프로그램 ‘SKT AI 펠로우십 6기’ 모집
- '이제는 AI비서 시대' , 4년 뒤 6배 급증한 62조 초대형 시장 형성...가전‧통신업계, 선점 경쟁 '후끈'
- AI 전문 인력 고갈 될라 '노심초사'...업계, 인력 수급에 ‘안간힘’
- SKT, 국내 통신사 최초 국제표준 'AI 경영시스템' 인증..."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 통신사 전용 똑똑한 LLM 나온다...SKT, 내부 지침 학습한 '텔코LLM' 연내 출시
- SKT, ‘아이♥ZEM 가정의 달 페스티벌’ 진행
- SKT, AI 큐레이션 '티딜'로 지역 경제 활성화...소상공인 업체 입점 지원
- '세계 최강' 한국 펜싱...키다리 아저씨 'SK텔레콤'의 20년 후원 '재조명'
- SK텔레콤, 1분기 영업이익 4985억원...전년 동기 比 0.75% ↑
- 유영상 SKT CEO “AI 성장‧발전과 안전성의 균형 도모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