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연 29% ↑, 하락폭은 1~3% 그쳐
"향후 아파트 가격 상승 요인 다분"
![부동산인포가 KB부동산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집값은 1999년 통계이래 25년간 연평균 6.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5/223571_118355_301.jpg)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수도권 집값이 지난 25년간 한 해 떨어지면 두 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간 상승폭은 최대 약 30%까지 상승한 반면, 하락폭은 미미했다.
수도권 집값은 강세장에서 더 두드러지고, 장기적으로 우상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6일 부동산인포가 KB부동산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999년 통계 공개 이래 수도권 집값은 18개년 상승했고 7개년 하락하며 연평균 6.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를 땐 많이 오르고, 내릴 땐 소폭 내렸다. 집값이 오른 18개년 중에서 두 자릿대 상승폭을 보인 경우는 6번이다.
가장 집값이 많이 오른 해는 2002년으로 전년 말 대비 29.2%가 상승했다. 당시 정부의 규제 완화와 외환위기 이후 경기 회복세가 겹치면서 집값이 치솟은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집값이 하락한 경우는 대부분 전년말 대비 1~3% 떨어지는데 그쳤고, 가장 큰 하락폭은 지난해 기록한 –8.0%로 나타났다.
또 2020년 1월에 집을 사서 올해 1월까지 보유하고 있다면 평균 1.22배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1월에 샀다면, 1.39배, 2015년 1월에 매수했다면 1.48배 뛴 것으로 조사됐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국내 부동산 시장은 긴 호흡으로 보면 우상향 경향이 뚜렷하다”며 “인허가, 착공, 입주 트리플 감소가 이어지는 등 앞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 용인도 여럿 대기 중”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집값이 뚜렷한 우상향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청약열기도 치솟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를 살펴보면, 올해 1분기 수도권에서는 총 1만3206가구가 분양에 나섰고, 10만915건의 청약이 모여 평균 경쟁률이 7.64대 1에 달했다.이에 따라 2분기 분양 물량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경기 용인 처인구 남동 은화삼지구에는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가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총 3700여 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브랜드타운 가운데 1단지 전용면적 59~130㎡ 총 1681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서울에서는 서대문구 '서대문 센트럴 아이파크' 409가구가 일반분양 예정이며, 강동구 성내5구역을 재개발한 '그란츠 리버파크' 407가구도 대기 중이다. 312가구 규모의 은평구 ‘은평자이 더 스타’도 전용면적 49㎡ 일부 타입을 분양 중이다.
경기도에서는 롯데건설이 7월 나리벡시티에서 롯데캐슬 아파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총 671가구 규모다. 광주 곤지암역 부근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 시공으로 635가구가 하반기 시장에 나올 예정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건설업, 건축 수주 가뭄‧착공실적도 저조...전문가 “공급 부족 따른 집값 상승 우려”
- 서울 전세 ‘가뭄’, 천정부지로 오르는 전셋값...수요자 ‘매매’로 기웃
-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 한 달 새 58% 급증...왜?
- 5월 분양 4만 여 가구 '봇물'...건설사, 미분양 증가할까 ‘노심초사’
- 내년 수도권서 중대형 입주 물량 30% ‘뚝’
- 5~6월 부산에 분양 큰 장 선다...5000여 가구 봇물
- 5~6월 지방 분양물량, 상반기의 46% 차지…하반기 물량 '뚝'
- “여보, 전세금 올려 달래...이참에 집살까”...이달 재건축‧재개발 1만5000여 가구 분양
- 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광주곤지암역’ 7월 분양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