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준감위 위원장 "정경유착 고리 끊겼는지 근본적 의문...한경협 스스로 검토해봐야"
삼성 7개사 대표이사와 간담회, 노사 문제 집중 논의..."삼성이 반드시 넘어야 할 산"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정례회의를 마친 이찬희 준감위 위원장이 22일 오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리는 삼성 준감위-7개사 대표 간담회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뉴스퀘스트]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정례회의를 마친 이찬희 준감위 위원장이 22일 오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리는 삼성 준감위-7개사 대표 간담회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가 삼성의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비 납부 문제에 대해 결론을 내지 않고 후속 논의를 예고했다.

이찬희 준감위 위원장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정례회의 직후 "한경협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인적 쇄신이 됐는지에 대해 위원들의 근본적 문제 제기가 있었다"며 "(회비 납부에 대해)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경협은 지난 4월 4대 그룹(삼성, SK, 현대차, LG)에 회비 35억원 납무를 요청한 바 있다. 삼성을 비롯한 각 그룹은 회비 납부 시점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의 경우 준감위가 지난해 8월 발표한 한경협 가입 권고안에 따라 회부 납부전 준감위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당시 준감위는 회비 납부 사전승인 외에 한경협이 정경유착 행위를 비롯해 회비나 기부금을 기존 목적 외에 부정하게 사용하면 즉시 탈퇴해야 한다는 점도 함께 권고했다.

이 위원장은 "전경련에서 한경협으로 변한 이유가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겠다고 한 취지였는데, 지금 상황이 인적 구성이나 물적 구성에 있어 정경유착의 고리가 끊겼는지에 대해 근본적 의문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것은 한경협 스스로가 한 번 검토해봐야 할 문제"라며 "또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지, 시스템적으로 그게 가능한지를 검토해 (한경협 회비 납부에 대해) 다시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해 5월 젼국경제인연합회에서 이름을 바꾸고 윤리헌장 제정 등을 골자로 하는 혁신안을 내놓았다.

류진 한경협 회장은 당시 "어두운 과거를 깨끗이 청산하고 잘못된 고리는 끊어내겠다"며 "윤리경영을 실천하고 투명한 기업문화가 경제계 전반에 뿌리내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찬희 위원장을 포함한 준감위원들은 이날 오전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삼성전자를 포함한 주요 계열사(삼성물산·삼성SDI·삼성전기·삼성SDS·삼성생명보험·삼성화재) 대표이사와 간담회를 했다.

간담회에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최윤호 삼성SDI 사장,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황성우 삼성SDS 사장,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이문화 삼성화재 사장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한경협 회비 납부와 관련한 준감위 회의 결과를 공유하고, 노사 관계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위원장은 간담회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노사 문제는 삼성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라며 "노사 문제를 포함한 삼성의 여러가지 준법경영에 관한 문제들을 간담회에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노사는 올해 초부터 이어진 임금교섭에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파업'이라는 극한 상황에 이르렀다.

노사 양측은 오는 23일 임금교섭을 재개할 계획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