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수사팀 구성 후 사흘 만에 강제수사 돌입
경영진 주거지 3곳, 관련 법인 사무실 7곳 동시다발 압수수색
이른 시일 내 구영배 대표 등 주요 관계자 피의자 조사 예정

서울중앙지검 티몬·위메프 전담수사팀(팀장 이준동 부장검사)은 전담수사팀을 구성한지 사흘 만에 티몬·위메프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1일 오전 검찰 수사관들이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와 관련해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를 압수수색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티몬·위메프 전담수사팀(팀장 이준동 부장검사)은 전담수사팀을 구성한지 사흘 만에 티몬·위메프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1일 오전 검찰 수사관들이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와 관련해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를 압수수색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검찰이 대규모 정산 지연 사태로 수많은 소비자·소상공인에게 피해를 입힌 티몬·위메프와 관련한 각종 의혹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다.

1일 서울중앙지검 티몬·위메프 전담수사팀(팀장 이준동 부장검사)은 전담수사팀을 구성한지 사흘 만에 티몬·위메프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압수수색 대상은 티몬·위메프 모회사 큐텐그룹의 구영배 대표를 비롯한 회사 경영진 주거지 3곳, 티몬 본사·위메프 사옥 등 관련 법인 사무실 7곳이 모두 포함됐다.

이날 오전 수사팀은 컴퓨터 하드디스크, 회계 자료, 결재 문서·보고서 등 내부 문건, 휴대전화 등을 확보하고 있다.

검찰은 구 대표에 대해 사기와 횡령·배임 등 혐의를 적용해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에 나섰다.

현재 티몬·위메프는 대규모 자금 경색으로 판매대금을 적시에 지급하기 어려운 사정을 사전에 인지한 후에도 입점 업체들과 계약을 유지하고, 물품을 판매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부가 추산하고 있는 티몬·위메프의 판매자 미정산 대금은 약 2100억원이다. 

심지어 일각에서는 향후 정산기일이 다가오는 거래분까지 고려하면 피해 규모는 무려 1조원에 달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특히 티몬·위메프 경영진들이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소비자 결제 대금과 판매자들에게 돌려줘야 할 대금을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구 대표는 지난달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 현안 질의에서 참석해 큐텐이 올해 2월 1억7300만달러(약 2300억원)에 북미·유럽 기반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 ‘위시’ 인수 과정에서 티몬·위메프 자금을 끌어다 썼다고 사실상 시인한 바 있다.

그러면서도 “해당 자금은 한 달 내에 바로 상환했다”며 “이번 정산 지연 사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당시 구 대표는 판매자금 누적된 손실과 이커머스 경쟁 격화에 따른 프로모션 비용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거의 남은 게 없다는 식의 발언도 했다.

여기에 추가로 금융당국은 큐텐이 티몬·위메프의 자금을 빼 쓴 과정에서 내부 절차, 규정을 무시한 정황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했을 때 현재 검찰은 경영진의 사기 혐의뿐만 아니라 횡령·배임 혐의를 규명하는 데 수사의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이미 검찰은 지난달 26일 큐텐 자금 흐름에 불법 흔적이 있다는 금융감독원의 수사 의뢰를 받은 후 구 대표 등 주요 피의자들을 즉각 출국금지하고, 법리 검토 등 기초 조사를 진행했다.

이후 검찰은 지난달 29일 티몬·위메프가 법원에 회생 절차 개시를 신청하자 더 이상의 자구책 마련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고, 검사 7명으로 전담수사팀을 꾸려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이번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로 피해를 본 입점업체 등의 경영진 고소·고발 건도 계속되고 있다.

검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물품과 금감원이 넘긴 자료를 토대로 큐텐 등 내부 자금 흐름을 살펴보고, 판매대금의 규모, 행방 등을 확인한 후 구 대표 등 경영진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