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회생법원의 ‘티메프’ ARS 프로그램 미연장 결정 후 연이어 의견서 제출
아직 뚜렷한 입장을 정하지 못한 채권자도 상당수
이번 사태로 고객과 집단분쟁 조정 대응해야 하는 여행업계 행보도 관심

티몬·위메프 사태로 피해를 본 채권자들이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놓고, 법원에 연이어 의견서를 제출하고 있다. 지난달 말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 피해자들이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검은 우산 집회를 열고 피해자 구제 특별법 제정 등을 촉구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티몬·위메프 사태로 피해를 본 채권자들이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놓고, 법원에 연이어 의견서를 제출하고 있다. 지난달 말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 피해자들이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검은 우산 집회를 열고 피해자 구제 특별법 제정 등을 촉구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미정산 문제로 대규모 피해자를 양산한 티몬·위메프 사태와 관련된 채권자들이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놓고, 법원에 연이어 의견서를 제출하고 있다.

회생절차를 통해 파산만큼은 막아서 조금이라도 자금 회수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직 입장을 정리하지 못한 채권자도 적지 않아 향후 어떻게 결론이 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달 30일 서울회생법원은 회생절차 협의회를 열어 채권자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자구안을 마련하지 못했다며 티몬과 위메프의 자율구조조정지원(ARS) 프로그램을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법원은 채권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인 후 추석 연휴 전에 티몬·위메프의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5일 채권자협의회에 참가한 업체 한 곳은 전날 법원에 회생 절차 개시에 찬성하겠다는 의견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해당 업체 관계자는 “티메프가 파산할 경우 미정산금을 영영 못 받는다”며 “회생을 거쳐 정상 영업에 들어간다고 가정하면 늦더라도 일부 채권에 대한 회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티몬·위메프 채권자는 각각 약 4만7000명, 6만3000명으로 총 11만명에 달한다. 채권자협의회는 각각 5개와 4개 업체로 구성됐다.

채권자협의회 다른 업체는 “아직 최종 의견을 검토하고 있지만, 회생절차 개시에 찬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티몬과 위메프가 회생 절차를 통해 사업을 유지하든 파산을 하든 이번 사태로 입은 손해를 최소화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덧붙였다.

채권자협의회에 들어가 있지는 않지만, ‘회생절차 협의회’에 참가한 일부 판매업체는 지난주 법원에 회생 절차 개시를 요구하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피해 업체 약 40곳을 대리해 의견서를 제출한 법무법인 린의 최효종 변호사는 “티메프는 녹고 있는 얼음”이라며 “무의미한 자율구조조정지원 프로그램으로 가능성 있는 인수자 또는 투자자조차 사라지기 전에 회생 절차를 개시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ARS로 100원(피해 금액 전액)을 받으려다 0원이 될 수도 있다”며 “회생 절차를 통해 피해 금액의 일부인 30원, 40원이라도 받는 것이 낫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다만, 아직 뚜렷한 입장을 정하지 못한 채권자들도 적지 않아 일부 채권자가 제출한 의견서만으로 채권자들의 회생절차 개시 찬반 의사를 명확하게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약 450개 중소 판매업체가 참여한 판매업체 비상대책위원회는 업체마다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어서 다양한 의견을 담은 의견서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신정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의견을 하나로 모으지 못해 ARS를 연장했으면 한다는 의견부터 회생 절차 개시를 원한다는 의견까지 다양한 내용을 담아 의견서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비대위에 참가한 피해 판매업체들의 공통된 의견은 파산은 답이 아니라는 것”이라며 “어떤 절차를 거치든 티몬·위메프가 정상 운영할 수 있는 쪽으로 의사결정이 빠른 속도로 진행됐으면 한다는 요청을 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로 고객과 집단분쟁 조정에 나서야 하는 여행업계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집계한 티몬·위메프 미정산 현황에 따르면 여행업계 미정산 금액은 795억원에 이르고, 피해를 본 여행업체는 287곳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 중에는 하나투어, 모두투어 같은 대형 여행사 외 중소 여행사가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채권단협의회에 포함되지 않은 일부 중소 여행사는 재판부에 별도의 의견서를 제출했을 가능성도 있다.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여행·숙박·항공권 환불을 요구하는 티메프 고객을 대상으로 집단 분쟁조정 신청을 받아본 결과, 약 9000명이 접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법원에서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나든 여행업계가 피해를 보는 것은 뚜렷한 상황”이라며 “현실적인 대책을 찾기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