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 대통령 대선 승리 소식에 뉴욕증시 3대 지수 최고치 찍어
무역분쟁 현실화 가능성에 국내 증시는 업종별 희비 엇갈릴 듯
자율주행·우주방산·바이오·원전·금융주 상승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강화되면서 무역분쟁이 심화할 것으로 우려되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미국 증시와 달리 국내 증시는 공포에 휩싸이고 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11/234011_131431_1638.jpg)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미국증시와 달리 국내 증시는 하락세를 거듭하고 있다.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압승으로 그의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정책이 더욱 강화될 것이란 우려에 따른 디커플링이다. .
한국증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따른 무역분쟁 우려로 당분간 하방압력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3대 주요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로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08.05포인트(3.57%) 오른 4만3729.93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46.28포인트(2.53%) 상승한 5929.04에, 나스닥 지수는 544.29포인트(2.95%) 튄 1만8983.47에 각각 마감했다.
미국 금융시장은 이번 미국 대선 결과로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규제 완화 정책이 기업 활동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문제는 이러한 미국증시의 상황과 달리 한국증시는 트럼프 행정부가 시작할 무역분쟁에 대한 불안감으로 ‘고난의 길’이 예상된다는 점이다.
올해 들어 국내 주요 기업들의 이익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있는 가운데 이차전지·신재생에너지·자동차 등 일부 산업은 차기 미국 정부의 보조금 철폐와 관세 부과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추가로 ‘트럼프 트레이드’ 영향으로 강달러가 심화되고 있는 부문도 투자심리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소식이 전해진 이후 대규모 관세 부과 가능성에 따른 인플레이션 문제가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고, 이로 인해 미국의 금리 인하가 늦어질 수 있는 전망도 나왔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올해 미국 증시와 디커플링이 계속된 상황에서 무역분쟁이 재개될 시 내년뿐만 아니라 2기 트럼프 행정부 내내 국내 증시가 부진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가질 법하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레드 스윕(Red Sweep·공화당 싹쓸이) 구도가 유력해진 것도 무역분쟁의 두려움을 키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으로 ‘비관론’에 빠져있는 것보다 관련 수혜종목을 선택한 후 투자를 고려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선 결과로 미국증시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한국증시에는 불리한 형국이 만들어졌다”며 “다만, 단기 변동성에 흔들리지 말고, 경기 사이클과 통화정책에 주목하면서 대응에 나서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현재 업황과 트럼프 정책의 교집합은 바로 인공지능(AI)과 규제완화”라며 “대표적인 예로 자율주행과 우주방산 사업이 있으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이날 KB증권은 ▲자율주행 ▲우주방산 ▲바이오 ▲원전 ▲금융 관련주 등을 트럼프 수혜주로 분류했다.
삼성증권은 미국 대선 대응 시나리오를 통해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으로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 대선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더라도 대선 결과에 따른 대응 전략을 달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방산·조선·운송·원전과 같은 산업재와 바이오 종목의 상승세가 예상된다”며 “그러나 2차전지주의 경우 과거 밴스 부통령 후보가 내연기관차의 세액공제 법안을 발의했던 점을 고려했을 때 트럼프 수혜주와 거리가 멀다”고 덧붙였다.
시가총액 1위와 2위를 기록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투자의견에 대해서는 ‘중립’을 제시했다.
신 연구원은 “대만의 지적학적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국내 반도체 업체의 반사 수혜가 기대되지만, 우리나라의 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와 반도체 보조금 축소 가능성은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