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 암호모듈검증(KCMVP) 통과…“양자암호 제품 지속 선보일 것”
![‘양자암호원칩(QKEV7)’과 이를 탑재한 구간양자암호단말장치 [SK텔레콤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11/234308_131769_2841.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 SK텔레콤은 케이씨에스(KCS)와 공동 개발 및 상용화한 '양자암호원칩(QKEV7)'이 국가정보원의 암호모듈검증(KCMVP)을 성공적으로 통과했다고 13일 밝혔다.
KCMVP는 국가‧공공기관의 중요 정보 보호에 사용되는 암호 체계의 안정성과 구현 적합성을 검증하는 제도로, 국가‧공공기관을 위한 정보보호시스템에 탑재되는 암호모듈은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양자암호원칩’은 양자난수생성기 칩과 암호통신기능 칩 등 2개의 칩이 하나로 합쳐진 보안칩이다.
특히, 양자 기반 암호키 생성 기술과 함께 물리적 복제방지 기술(PUF,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등 강력한 보안 기능이 적용됨에도 초경량, 저전력이 특징이다.
이번 인증은 국정원 KCMVP 보안수준2등급으로, 국정원에서 암호모듈을 대상으로 부여한 인증 가운데 현재까지 가장 높은 등급이다. 또한, 양자난수생성기가 적용된 보안칩이 국정원의 보안 검증을 통과한 것은 국내 최초라는 게 SKT의 설명이다.
SKT는 이번 국정원 보안검증 통과가 국방 등 국가·공공기관은 물론, 기업체의 인공지능(AI) CCTV, 드론, 5G 특화망 등 높은 보안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영역에 ‘양자암호원칩’이 활용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양사는 이번 인증을 시작으로 국방∙공공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지난 6월 출시한 차세대 양자암호칩 ‘Q-HSM’으로 차세대 국가 차원의 보안 관련 실증사업에도 전력을 다한다.
‘Q-HSM’은 ‘양자암호원칩’에 소프트웨어 기반의 PQC(양자내성암호)를 탑재한 세계 최초의 양자암호 칩으로, 강력한 보안성이 특징이다.
하민용 SKT 글로벌솔루션오피스 담당(CDO)은 “’양자암호원칩’이 대한민국에서 가장 엄격한 국정원의 암호모듈인증을 통과하며 우수한 보안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며 “앞으로도 국가와 기관, 기업, 고객의 중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지켜낼 양자암호 기반의 솔루션과 제품들을 시장에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전 사업 고른 성장' SK텔레콤, 3분기 영업이익 5333억원...전년 동기 比 7.09% 증가
- 엔비디아·TSMC·MS 다 모였다…'AI 협력의 장' 이끈 최태원 SK회장
- SK그룹, MS·엔비디아·TSMC와 AI 협력 더 끈끈히 이어간다...최태원 회장 "전 세계 최고 파트너들과 AI 병목현상 해결 앞장"
- SK텔레콤, K-인공지능 생태계 확산 앞장...19개 멤버사와 내달 'SK AI 서밋' 개최
- SKT, KTㆍLG U+와 'V 컬러링' AI 영상 공모전 진행...새로운 상상력 발굴
- SKT, 태광그룹‧미래에셋 보유 SKB지분 전량 인수...지분 99.1% 확보
- 다가오는 2025, 핵심 인공지능 키워드 '에이전틱 AI'...'적응하고, 계획하며, 독립적인' AI가 뜬다
- SKT, 저궤도 위성 기반 재난 통신 기술로 전파방송기술대상 장관상 수상
- SKT, 글로텔 어워드 8년 연속 수상...“혁신성 인정받아”
- SKT, 첫 로밍 고객에 데이터 4배 쏜다...최대 4만원 혜택
- "10자년 걸릴 계산 5분만에"...구글, 양자컴퓨팅 반도체 '윌로우'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