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시간에 해제됐고, 한국의 제도적 기반 탄탄한 것으로 분석
비상계엄 사태 후 금융당국의 대응 속도·의지도 긍정적 평가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주요 관계자들은 간밤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에 실질적 영향이 없다”고 4일 분석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사진=연합뉴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주요 관계자들은 간밤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에 실질적 영향이 없다”고 4일 분석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간밤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에 실질적 영향이 없다”고 진단했다.

킴엥 탄 S&P 전무는 4일 서울 여의도에서 S&P와 나이스신용평가가 공동 개최한 언론 세미나에서 “이번 비상계엄이 몇 시간 만에 해제됐고 한국의 제도적 기반이 탄탄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론 이는 투자자들에게 뜻밖의 일이고, 향후 투자자 결정에 부정적 여파를 미칠 수 있지만 현 상황에서는 한국의 현 신용등급(장기 기준 ‘AA’)을 바꿀 사유가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기업 신용등급을 맡는 엔디 리우 S&P 전무도 “비상계엄의 잠재적 여파는 밋밋(flat)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외국 투자자들이 한국 환경에 관해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일 수는 있겠지만, 한국의 전반적 신용 환경이나 한국 기업의 신용도에 관해서는 계엄의 여파가 현재로는 잠잠해진(muted)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 루이 커쉬 S&P 전무는 “프랑스 등 이미 몇몇 국가들이 정치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한국 정치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번 사례는 경제·금융 정책 기조에 대한 심각한 의견 불일치로 생긴 일은 아닌 것으로 이해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경제·금융 기조에 대해 국내 견해차가 크면 사태를 해결하기가 어렵고 불확실성이 불어나지만, 이번 일은 그렇지 않다”며 “어떤 형태든 불확실성은 좋은 일이 아니지만 차차 상황이 나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번 세미나에 참석한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상무는 “앞서 2016∼2017년 대통령 탄핵 및 대선 정국 때도 시장의 출렁거림이 있었지만 주가지수와 금리 등은 시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돌아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련 뉴스가 많이 나와도 투자자들은 펀더멘털(경제의 기초체력)에 따라 판단을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금융당국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시장에 대거 유동성을 공급키로 한 점에 대해 S&P는 조처의 규모가 충분한지는 당장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대응의 속도와 의지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대현 S&P 상무는 “한국 정부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굉장히 중요시하며 이런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당히 빨리 대응한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는 “투자자나 시장 심리가 중요한 때인 만큼 40조~50조원 등 절대적 금액보다는 정부가 시장 안정 의지를 보여줬다는 사실을 의미 있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