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이목 탄핵정국에 집중...연말 특수 타격 불가피
미국 수출 차량 관세 인상, IRA 세액공제 축소로 경쟁력 악화 우려
![연말 성수기를 준비하던 완성차 업계가 계엄‧탄핵정국이라는 암초를 만나 글로벌 판매에 영향을 미칠까 우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12/235982_133852_1217.jpg)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완성차 업계가 계엄‧탄핵 정국이라는 대형 암초를 만났다. 특히, 연말 성수기를 준비하던 완성차 업계의 타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위한 노조의 집회가 예상되면서 이를 인한 생산 차질이 전망되는데다가, 이번 사태로 인한 국가 신용도 하락으로 수출 전선까지 먹구름이 낄 수 있어서다.
여기에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하이브리드 차량을 위주로 수출을 늘리면서 국내 완성차 업체와의 경쟁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업계는 가뜩이나 내수 시장이 안 좋은데 탄핵정국까지 겹치면서 힘겨운 겨울나기를 보내야 할 것 같다는 지적이다.
10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협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11월 국내 완성차 업계(현대차‧기아,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한국GM)의 글로벌 판매량은 총 71만6960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0.5% 증가한 수치다.
내수 판매는 6.4% 줄어든 12만3793대, 해외 판매는 59만3167대로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 증가했다.
해외 수출 물량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판매량은 증가했지만 내수 판매에 있어서는 국내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내수 시장의 경우 올해 1~11월까지 국내 판매량은 총 123만7894대로 전년 동기 133만5595대보다 7.3% 감소했다.
이에 자동차업계는 다양한 할인 행사 등을 통한 연말 특수로 내수 시장의 판매 반등을 노렸지만, 예상치 못한 탄핵정국이라는 암초를 만나 노심초사하는 모습이다.
이날 전국금소노동조합(금속노조)는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오는 11일 진행할 윤석열 대통령 퇴진 요구 전면파업의 세부계획 논의에 나선다.
이에 따라 업계는 금속노조 최대 사업장인 현대자동차 노조를 비롯한 완성차 업계 노조의 파업 동참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이목이 탄핵정국에 집중돼 내수 판매에 영향을 미칠 것은 물론이거니와 완성차 업계 노조도 집회를 예고하면서 이로 인한 생산차질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도 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미국향 완성차 수출에 대한 관세 인상 및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 축소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자동차 산업은 완성차의 미국 수출 비중이 최근 5년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국내 완성차의 미국 수출 비중은 45.4%, 전기차는 35%에 달할 정도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미국이 미국향 완성차 수출시 보편적 무역관세(미국 내 수입 제품에 10% 이상)를 적용하고,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을 축소하게 되면, 미국 시장에서 한국자동차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켜 수출 물량 감소로 이어질 우려가 존재한다.
여기에 유럽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의 수출을 늘리고 있는 중국차 업체와의 경쟁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가 지속 증가해 왔던 국내 업계로써는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완성차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고금리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내수 시장에서의 판매량이 좋지 않았고 탄핵정국까지 더해지면서 시장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그나마 해외시장을 통해 버텨왔는데 내수시장은 큰 문제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관세폭탄 등 북미 시장에서도 전반적인 위축이 우려되고 있고 이에 따른 간접 여파 등으로 자동차 수요 감소가 예상된다”며 “전국이 어수선한 가운데 환율급등 등 시장 상황도 불안정해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이번 계엄선포로 인해 불확실성이 가중된 것은 사실이다”라며 “내수와 수출 판매 확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업계에 찬물을 끼얹은 행위다"라고 지적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경영환경 ‘안갯속’...삼성‧SK‧현대차‧LG그룹 등 재계, 사업계획 수정 등 대응책 모색 '분주'
- 5대 그룹 사장단 인사 키워드...'파격' 현대차, '쇄신' 삼성·롯데, '기술' SK·LG
- "글로벌 경쟁서 뒤처질라"...통신업계, 혼란 정국 속 뒷전 된 AI기본법·단통법 폐지 무산에 '한숨'
- 尹 "탄핵이든 수사든 끝까지 싸우겠다"…한동훈 "탄핵밖에 답 없다"
- 기아 오토랜드 광주,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서 플래티넘 획득
- 친환경차 전환 박차 현대차‧기아...미 시장서 역대급 실적 낼까
- KGM, ‘ADAS’ 고도화 기술 MOU 체결...’26년 양산 차량 적용 목표
- 현대차·기아, ‘글로벌 통합 탄소 배출 정보 시스템’ 구축...완성차 생애주기 전 과정 관리
-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한 달간 문 닫는다...“전기차 생산 설비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