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파트너스 측의 가처분·비방 행위에 대한 불만 토로
“공개매수 취득 자기주식, 합법적인 절차 거쳐 전량 소각할 것” 강조
![고려아연은 적대적 M&A를 시도하다 비밀유지계약 위반 가능성 논란에 휩싸이는 등 궁지에 몰린 MBK파트너스가 존재하지도 않는 허위사실을 가정해 또 다시 가처분 소송을 벌이고 있다고 13일 비판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12/236274_134176_5013.jpg)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고려아연이 적대적 M&A를 시도하다 비밀유지계약 위반 가능성 논란에 휩싸이는 등 궁지에 몰린 MBK파트너스가 존재하지도 않는 허위사실을 가정해 또 다시 가처분 소송을 벌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려아연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확산하려는 시도를 이어가면서 시장과 언론을 호도하는 등 과거 보여줬던 ‘법꾸라지’ 행태를 또 다시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13일 고려아연은 MBK가 앞뒤가 다른 얘기를 꺼내 들며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의 명분과 논리가 없음을 스스로 고백했다고 주장했다.
고려아연에 따르면 최근 MBK 측은 입장문을 통해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MBK 경영실패 사례에 대한 해명을 내놓았다.
해당 자료에서 MBK는 “사모투자 운용사가 모든 투자에서 성공할 수는 없다”며 “모든 기업들이 실행하는 신규사업들이 승승장구하기만 하지는 않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언급했다.
특히 “MBK가 2008년 인수했던 종합유선방송회사(MSO) 씨앤앰은 결과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투자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고 실토하면서도 고려아연의 신사업 투자 등에 대해선 전혀 다른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는 게 고려아연 측 분석이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MBK는 고려아연의 자원순환 사업 등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투자를 문제 삼으며, 최윤범 회장 등 경영진 교체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수차례 강조해왔다”고 말했다.
아울러 “하지만 이는 해당 산업과 기술, 장기적 안목과 시장에 대한 이해 없이 단기적인 식견에 매몰된 채 일방적인 주장을 펼쳐온 것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즉, MBK가 신규 사업들이 승승장구하기만 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면서도 초기 투자 단계를 넘어 안착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자원순환 사업을 표적삼아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모순된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MBK가 언급해 온 그간의 투자 실패와 경영 무능력, 그리고 본인들이 일으켜온 수많은 사회적 문제와 논란에 대해 뒤돌아보고, 최근 급격하게 확산하고 있는 비판 여론을 감안해 자중과 반성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날 고려아연은 공개매수로 취득한 자기주식을 적절한 시기에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전량 소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고려아연은 법원은 물론이고, 주주와 시장, 금융당국에 지난 공개매수로 취득한 자기주식을 전량 소각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MBK는 이런 절차와 상식을 무시하고, 있지도 않은 일을 가정해 또다시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실제로 MBK와 영풍 측은 지난 공개 매수 과정에서 1차 가처분에 이어 재차 가처분을 신청했다가 모두 기각됐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해당 가처분을 활용해 사기적 부정거래와 시세조종, 시장 교란 의혹으로 조사를 받고 있는 상태”라며 “또 다시 법꾸라지 버릇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려아연은 MBK의 주장에 근거해 MBK가 310억 달러(약 44조원) 규모의 자금을 운영하는 동북아 최대 펀드라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중국 자본이 얼마나 많이 포함돼 있는지, 세부적으로 어떤 자금을 받고 있는지 알 수조차 없고, 의사결정구조와 방식, 자금운영 형태와 방식 등 대부분의 사안들이 베일에 싸여 있을 정도로 불투명한 거버넌스를 유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특히 최근엔 고려아연으로부터 받은 핵심자료들을 활용해 적대적M&A를 시도한 게 아니냐는 언론의 의혹까지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에 대한 해명으로 MBK 측이 주장했던 차이니스 월(정보교류 차단)이 유명무실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더해 내부통제시스템 부실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