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북 구미4공장서 양산 시작, ‘드림 팩토리’ 앞세워 20조 시장 ‘정조준’
![지난 8일(현지시간) LG이노텍 문혁수 대표가 전시부스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LG이노텍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7763_135879_1835.jpg)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LG이노텍이 지난해 12월 경북 구미4공장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향 FC-BGA(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 양산에 들어갔다.
12일 LG이노텍에 따르면, 문혁수 대표는 지난 8일(현지시각) CES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최근 북미 빅테크 기업向 FC-BGA 양산을 시작을 했다”며 “이 외 여러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개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22년 FC-BGA 사업 신규 진출 선언 이후 글로벌 빅테크 고객 확보에 성공하면서, 의미있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LG이노텍은 2022년 시장 진출 6개월 만에 구미 2공장 파일럿 생산라인을 활용해 네트워크 및 모뎀용 FC-BGA 기판과 디지털TV용 FC-BGA 기판 양산에 성공한 바 있다.
또 인공지능(AI)/서버용 등 하이엔드(High-end) FC-BGA 시장에도 단계적으로 진입해 FC-BGA를 조 단위 사업으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FC-BGA에서 비교적 후발주자인 LG이노텍은 구미 4공장을 업계 최고 수준의 AI/자동화공정을 갖춘 ‘드림 팩토리(Dream Factory)’로 구축해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디지털제조 혁신으로 FC-BGA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수율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문혁수 대표는 “스마트 팩토리는 초기 투자비는 들지만, 수율을 훨씬 높이며,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갖출 수 있도록 하는 LG이노텍만의 차별화 요소”라고 말했다.
또한, 드림 팩토리뿐 아니라 향후 지분 투자, M&A 등 FC-BGA 관련 외부 협력 방안도 적극 모색하며, 시장 공략을 가속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유리기판 전망 및 개발 현황에 대한 질문에 문 대표는 “유리기판은 2, 3년 후에는 통신용 반도체에서 양산에 쓰이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며, 서버용도 5년쯤 후에는 주력으로 유리 기판이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LG이노텍도 이제 장비 투자를 해 올해 말부터는 유리 기판에 대해 본격 시양산(시제품 양산)에 돌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유리기판은) 가야만 하는 방향이고 상당히 많은 업체들이 양산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는 그런 단계다. LG이노텍도 늦지 않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후지카메라종합연구소에 따르면 글로벌 FC-BGA 시장 규모는 2022년 80억 달러(약11조 6912억원)에서 2030년 164억 달러(약 23조 9669억원)로 두 배 넘게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LG이노텍은 이번 CES 2025에서 처음 선보인 차량용 AP모듈 및 고부가 반도체용 기판인 FC-BGA를 앞세워, 반도체용 부품 시장 키 플레이어(Key Player)로서 새롭게 포지셔닝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차량용 AP 모듈은 차량 내부에 장착돼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과 같은 자동차 전자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차량 반도체용 부품. 컴퓨터의 CPU처럼 차량의 두뇌 역할을 담당한다.
글로벌 카메라 모듈 시장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LG이노텍은 전략적 글로벌 생산지 운영과 공장 자동화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문 대표는 “글로벌 경쟁 심화에 대비해 베트남, 멕시코 등의 해외 공장 활용을 준비하고, DX 적용을 통한 공장 자동화에 주력했다”며, “감가상각이 끝나고 베트남 공장 증설이 올해 완공돼 가동에 들어가면, 카메라 모듈 사업의 원가 경쟁력이 높아지며 수익성이 제고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는 확장성이 높은 원천기술은 LG이노텍의 최대 경쟁력이자 자산이라 보고 있다.
모바일 분야 원천기술을 모빌리티 분야로 확대 적용한 사례처럼, 센싱, 제어, 기판 등 LG이노텍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은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LG이노텍은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사업간 기술과 경험을 융∙복합해 차별적 가치를 만들어 내고 이를 모빌리티, 로보틱스 등으로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문 대표는 CES 2025 기자 인터뷰에서 AI 시대 급성장 중인 휴머노이드 분야 개발 현황을 묻는 질문에 “LG이노텍은 글로벌 1위의 카메라 기술력을 바탕으로 휴머노이드 분야 주요 리딩 기업들과 활발히 협력하고 있다”며 “이번 CES 기조연설에 등장한 14개 휴머노이드 중 반 이상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CES 2025] LG이노텍, 車통신∙조명 등 모빌리티 혁신제품 공개
- [신년사]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고객의 비전 함께 실현하는 기술 파트너 되자”
- LG이노텍, 2030년 車 센싱 2조 사업 육성...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 전면 배치
- 미래 모빌리티 테마 집중한 LG이노텍, CES 2025서 입지 다졌다
- 체질 개선 나선 삼성전기·LG이노텍, 전장 사업에 '공' 들인다
- LG이노텍, 지난해 매출 21조2000억원 '역대 최대'...영업익 15% 감소
- LG이노텍, 대학생 유튜브 광고 공모전 개최
-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반도체용 부품, 2030년까지 매출 3조 달성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