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소각 규모는 12조1399억원...전년 대비 156% 급등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2/239501_137833_19.jpg)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지난해 국내 상장사들의 자사주 매입 규모가 14조원에 달했으며, 자사주 소각도 12조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주요 기업들이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고, 주식 시장 침체에 따른 주가 하락 방어 등을 위해 적극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2023∼2024년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소각, 체결 공시를 제출한 국내 상장사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상장사의 자사주 취득 규모는 14조315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8조2863억원 대비 72.8% 증가한 수치다.
또한, 지난해 자사주 소각 규모는 12조1399억원으로, 2023년 4조7429억원 대비 156.0% 증가하는 등 큰 폭으로 늘었다.
이는 국내 기업의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고, 주요 기업들이 주가하락 방어를 위해 적극적으로 자사주 매입·소각에 나선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규모뿐 아니라 자사주 취득·소각을 진행한 상장사 숫자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자사주를 확보한 상장사는 464곳으로, 전년 376곳 대비 23.4%, 같은 기간 자사주를 소각한 상장사도 96곳에서 137곳으로 42.7% 각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고려아연은 상장사 중 지난해 가장 많은 자사주(2조1249억원)를 취득한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고려아연은 영풍과의 경영권 분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자사주 공개 매수 전략을 발표하고, 발행주식 9.85% 수준의 자사주를 매입한 바 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10월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취득 자사주 204만30주를 다시 소각하겠다고 공시했지만, 올해 1월 말까지 아직 이를 소각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영풍 측은 지난 6일 고려아연에 보유 자사주를 전량 소각하라고 압박하고 나섰다.
고려아연 다음으로 자사주를 많이 매입한 곳은 삼성전자(1조9925억원)다.
삼성전자는 앞서 지난해 11월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메리츠금융지주(8624억원), KB금융(8200억원), 신한지주(7000억원), KT&G(5467억원), 기아(5000억원), 셀트리온(4396억원), 네이버(4051억원), 하나금융지주(3969억원) 등도 자사주를 많이 취득했다.
지난해 자사주를 가장 많이 소각한 상장사는 삼성물산(1조289억원)으로 조사됐다. 국내 상장사 중 1조원 이상의 자사주를 소각한 곳은 삼성물산이 유일하다.
이어 KT&G가 지난해 8617억원의 자사주를 소각했으며, SK이노베이션(7936억원)과 포스코홀딩스(7545억원), 네이버(6866억원), 메리츠금융지주(6401억원), KB금융(6200억원) 등도 자사주 소각이 많았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