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개 개방형 LLM 성능 평가 가능
기업에 맞는 최적의 LLM 선정할 수 있어

LG CNS 직원이 '금융 맞춤형 LLM 평가도구'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LG CNS]
LG CNS 직원이 '금융 맞춤형 LLM 평가도구'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LG CNS]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LG CNS가 금융권에 특화된 맞춤형 AI(인공지능) 솔루션을 선보인다.

LG CNS는 금융 맞춤형 LLM(대형언어모델)평가 도구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평가 도구는 미리 구축한 데이터셋으로 시중에 공개된 수십개의 개방형 LLM을 평가해 뱅킹, 보험, 증권 등 각 금융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AI 모델을 찾아주는 게 특징이다.

금융 기업은 데이터 유출 등 보안의 이유로 AI 도입 시 개방형 LLM을 파인튜닝해 자체 모델을 구축한다. 대표적인 개방형 LLM 으로 LG AI연구원의 엑사원 3.5, 메타의 라마, 알리바바의 큐원 2.5 등이 있다.

LG CNS의 금융 특화 평가 도구는 29가지 평가지표와 약 1200개의 데이터셋으로 구성, 다양한 개방형 LLM을 평가해 금융 기업에게 적합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주요 평가 항목은 △금융 지식을 기반으로 추론하는 능력 △수학적 추론 능력 △복잡한 질문 이해력 △문서요약 능력 △금융 용어 이해도 △AI 에이전트 사용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테스트한다.

특히 LG CNS는 특히 AI가 답변하기 어려워하는 금융 관련 추론 문제들을 29개 평가지표에 적용해 더 정확한 성능 검증이 가능하도록 했다.

LG CNS는 금융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데이터셋의 평가 데이터에 실제 금융 현장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정보나 전문 지식 등이 정확히 반영됐는지 점검하며 완성도를 높였다.

이를 통해 AI가 금융 산업 내 규제 요건이나 복잡한 서비스 구조 안에서도 정확한 답변을 하는지 판단할 수 있게 했다.

LG CNS 관계자는 “금융 서비스에 생성형 AI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가장 큰 고민은 어떤 AI 모델이 서비스에 가장 적합할 지 파악하는 것”이라며, “LG CNS의 금융 특화 AI 평가 도구는 금융 기업들의 고민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 CNS는 최근 NH농협은행과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에 착수했고 신한카드와 생성형 AI 기반의 상담사 응대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금융권 기업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