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12월 상승률 1%대에서 올해 들어 2%대로 올라
수확량 감소로 인해 수산물 물가 6.4% 급증
실손보험료 인상, 외식 물가 상승세 확대에 개인서비스 물가 3.3%↑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8(2020년=100)로 전년 동기 대비 2.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이마트 은평점을 찾은 시민들이 개장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8(2020년=100)로 전년 동기 대비 2.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이마트 은평점을 찾은 시민들이 개장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소비자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올해 들어 소비자 물가 상승은 2%대 상승률을 이어간 것으로 집계됐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8(2020년=100)로 전년 동기 대비 2.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1%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1월 2.2%로 뛰어오른 후 넉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가공식품이 4.1%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를 0.35%포인트 끌어올렸는데 이는 지난 2023년 12월(+4.2%) 이후 16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가공식품은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고환율이 시차를 두고, 수입 원자재 가격 등에 반영되면서 물가 상승 폭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석유류 물가의 경우 최근 국제유가 하락 등 영향으로 1.7% 떨어지며 하락 전환했다.

이와 반대로 농·축·수산물 물가는 수산물과 축산물 중심의 상승세로 1.5%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축산물은 도축 마리수 감소, 수입 돼지고기 가격 상승 영향으로 4.8% 올랐다. 2022년 7월(6.1%) 이후 33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특히 수산물은 어획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6.4%까지 치솟았다. 2023년 3월(7.4%)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서비스 물가는 2.4% 올랐으며, 공공서비스는 1.3% 상승했다. 사립대학교 납입금 인상(5.2%)이 공공서비스 인상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실손보험료 인상, 외식 물가 상승세 확대 등으로 3.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외식물가는 3.2% 오르며 지난해 3월(3.4%) 이후 13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주요 식품업계가 고환율·고유가 등을 이유로 내세워 앞 다퉈 출고가를 인상한 점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1% 상승하면서 7개월 만에 다시 2%대에 올라섰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도 2.4% 오르면서 올해 3월(2.1%)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근원물가 상승 폭이 전체 소비자물가 지수와 같거나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됐는데 이는 기조적인 물가 상승 압박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근원물가는 날씨 등 계절 요인에 영향을 받는 농산물, 국제유가 변동에 취약한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하고 산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총지수에 비해 등락 폭이 크지 않은 편이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채소·과일, 석유류의 물가 하락세가 근원물가에는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물가 흐름은 추세적으로 현재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측한다”고 덧붙였다.

신선식품 지수는 1.9% 하락했으며, 2022년 3월(-2.1%)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구입 빈도가 잦고,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4%로 3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