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힌 프로젝트 대형 모듈 사진. [사진=DL이앤씨]
샤힌 프로젝트 대형 모듈 사진. [사진=DL이앤씨]

【뉴스퀘스트=김어진 기자】 DL이앤씨는 에쓰오일의 울산 '샤힌 프로젝트’ 건설 현장에 'PAR(Pre-Assenbled Pipe Rack) 모듈'을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PAR 모듈은 플랜트의 원료와 생산품 등이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배관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번에 설치한 PAR 모듈은 목포 모듈 제작장에서 석유화학 시설을 짓는 울산 온산산업단지로 옮겨졌다.

DL이앤씨는 지난 2월부터 10회에 걸쳐 순차적으로 총 17개의 모듈을 운송했다. 옮긴 모듈의 무게는 모두 1만톤에 이르며 길이 47m, 너비 22m 높이 36m에 이르는 대형 모듈도 포함됐다.

모듈은 미세한 차이로도 이상이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제작이 중요하다. DL이앤씨는 레이저를 발사한 뒤 대상에 부딪혀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공간 구조를 파악하는 ‘3D 스캐닝’을 도입했다. 3D 스캐닝으로 모듈 제작 공간에 샤힌 프로젝트 현장을 구현해 맞춤형 모듈을 제작했다.

규격에 딱 맞춰 제작된 모듈 사이 간격은 3mm를 넘지 않아 용접 한 번으로 모듈을 이어 붙이는 SWHU(Single Weld Hook Up) 방식을 활용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용접량을 50%가량 절감했다.

이어 모듈을 바지선에 실어 울산신항까지 450km에 달하는 거리를 운송했다. DL이앤씨는 각 모듈의 체적, 무게 중심에 따라 고박(묶는 작업) 위치를 선정하고, 특수 제작 받침목과 고정끈으로 포장하는 등의 해상운송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했다.

울산신항에 도착한 모듈을 샤힌 프로젝트 현장으로 옮길 때는 ‘모듈 트랜스포터’를 동원했다.

모듈 트랜스포터는 조선소 등에서 큰 선박이나 대형 구조물을 옮기는 데 사용되는 특수 운송 장비로, 금속판 아래 바퀴 4개가 달려 여러 개를 이으면 화물 기차처럼 움직인다.

DL이앤씨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2시간 동안 모듈을 2km 움직이는 ‘초저속 운동’으로 이동 작업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DL이앤씨는 샤힌 프로젝트의 핵심 공정 중 하나로 꼽히는 ‘TC2C(원유를 직접 석유화학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 시설 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샤힌 프로젝트는 내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