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주요 공공기관 컨설팅
삼성SDS의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 '브리티 코파일럿' 제공
클라우드 사업도 적극 전개...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협력사업자 선정
![삼성SDS가 공공분야 클라우드와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업에 참여하며 정부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사진은 삼성SDS 타워. [삼성SDS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7/227929_123747_1639.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삼성SDS가 공공분야 클라우드와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업에 참여하며 정부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삼성SDS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초거대 AI기반 플랫폼 이용지원’ 컨설팅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사업에서 삼성SDS는 초거대 AI 활용을 원하는 행정·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를 제공한다.
패브릭스는 기업의 업무 시스템에 생성형 AI를 빠르고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이다.
삼성SDS는 패브릭스를 도입하는 공공기관에 심층 컨설팅, 개념 증명(PoC), 최적화·고도화 지원, 생성형 AI 활용 교육 및 세미나 등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공무원의 업무 방식과 더불어 대국민 서비스까지 혁신될 것으로 삼성SDS는 기대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월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삼성SDS 생성형 AI 서비스 '브리티 코파일럿'을 제공하며 디지털 혁신에 적극 나서기도 했다.
브리티 코파일럿은 회사 업무를 하면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메일, 메신저, 미팅, 문서관리 등 협업 솔루션에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다.
삼성SDS는 공공분야 클라우드 사업도 적극 전개하고 있다.
삼성SDS는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의 ‘클라우드 서비스 민관협력사업’ 사업자로 선정돼, 중앙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SDS는 대구센터 내 공간을 이용해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인터넷망, 행정망, 공공망을 분리해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시스템 계정 및 접속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마련하여 보안을 한층 더 강화했다.
삼성SDS는 이달 중 아키텍처 설계 및 구축을 완료하고, 보안 적합성 심사를 거쳐 10월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식 오픈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올해 두 차례에 걸쳐 생성형 AI 도입과 클라우드 전환을 준비하는 공공기관 200여곳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세미나를 진행하며 공공분야 디지털 혁신을 돕고 있다.
이정헌 삼성SDS 전략마케팅실장(부사장)은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과 생성형 AI 서비스로 더 많은 공공기관이 업무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삼성SDS '첼로스퀘어', 국내 물류 기업 최초 GPT스토어 론칭..."질문만으로 즉시 견적조회"
- 황성우 삼성SDS 대표 "GPU 중심 컴퓨팅 시대 온다...변화에 앞장설 것"
- "물류도 생성형 AI로 파악"...삼성SDS, 공급망 리스크 최소화할 디지털 전환 '가속화'
- 삼성SDS, 세계 최대 규모 공급망 심포지엄서 'SRM SaaS' 솔루션 공개
- 삼성SDS, 1분기 영업이익 2258억원...전년 동기 대비 16.2% ↑
- 삼성SDS, 2분기 영업이익 2209억원...전년 동기 比 7.1% ↑
- 삼성SDS, 국내 IT서비스 업계 최초 'AI 경영시스템' 인증 획득...AI 관리 역량 인정
- 삼성SDS, 'REAL 서밋 2024' 내달 3일 개최..."생성형 AI 비전과 전략 공유"
- 삼성SDS, GPU 중심 AI 클라우드로 하이퍼오토메이션 혁신 실현...글로벌 파트너사와의 협업 '끈끈'
- "AI로 뭐하니" 물음에...삼성SDS "업무 초자동화", SKT "검색엔진 혁신"
- 삼성SDS, 美 시뮬레이션 SW 분야 글로벌 1위 '앤시스코리아'와 맞손...클라우드 상품 경쟁력 강화
